뷰페이지

[열린세상] 드라마 ‘지옥’의 허구성/최준식 이화여대 명예교수

[열린세상] 드라마 ‘지옥’의 허구성/최준식 이화여대 명예교수

입력 2021-12-21 17:38
업데이트 2021-12-22 02: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준식 이화여대 명예교수
최준식 이화여대 명예교수
지금은 조금 수그러들었지만 한국 드라마 ‘지옥’이 넷플릭스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이 드라마를 보니 작품성은 인정되는데 인간의 죽음을 다루는 부분에서 동의할 수 없는 것이 있어 한마디할까 한다. 물론 드라마는 픽션이니 허구나 상상 혹은 재미로 생각하면 문제 될 것은 없다. 그런데 혹시라도 이 드라마에 나온 것을 사실로 받아들이는 사람이 있을까 두려워 노파심에서 한마디 거들려고 한다.

내가 가장 동의할 수 없는 점은 이 드라마가 인간의 죽음을 매우 부정적으로 묘사하고 있다는 것. 여기에 나온 인간의 죽음 장면을 복기해 보면 이렇다. 한 사람에게 갑자기 천사라는 존재가 나타나 죽는 시간을 정확히 알려 준다. 그러다 그 시간이 되면 웬 ‘어벤져스’에 나올 법한 저승사자들이 나타나는데 그 모습이 기괴하고 혐오스럽기 짝이 없다. 이 사자들이 당사자를 갖은 수단으로 고문하고 괴롭히다 끝내 불태워 죽이는 것으로 이 사건은 마무리된다.

이 장면을 보고 나는 어쩌다 인간의 죽음을 이렇게도 잔인하고 가학적으로 묘사했을까 하는 의구심이 솟구치는 것을 막을 길이 없었다. 인간을 너무나 단죄하는 쪽으로 몰고 가는 것도 마뜩잖았다. 사실 이런 생각은 이 영화를 볼 때에만 든 게 아니라 천만 관객을 동원했다는 ‘신과 함께’라는 영화에서도 그랬다. 그 영화에서도 주인공은 죽은 다음에 일곱 번이나 재판을 받는 힘겨운 과정을 겪지 않았던가.

하기야 ‘오징어 게임’도 그렇다. 이 드라마에서는 옆에서 사람들이 마구 죽어 가는데도 게임을 계속하는 것이 이해되지 않았다. 우리 인간은 다른 인간의 죽음을 목도하면 두려움에 절어 공황 상태에 빠지는 법이다. 죽음은 그렇게 무서운 것이다. 그런데 영화나 드라마에는 죽은 사람을 앞에 놓고 아무렇지도 않은 듯 행동하는 장면이 너무 많이 나온다.

예를 들어 보자. 드라마에는 수사관들이 살인 현장에 가서 끔찍하게 살해된 시신을 아무렇지도 않게 보는 장면이 꽤 나온다. 그러나 실제로 수사관들의 이야기를 들어 보면 그런 현장에서 받은 충격 때문에 후에 크게 고생한다고 한다. 그래서 어떤 수사관은 목사인 내 동료에게 자신을 ‘힐링’해 달라는 부탁을 하기도 했다. 물론 현장을 많이 겪은 베테랑 수사관들은 그 충격이 덜 하겠지만 인간의 죽음 현장은 무서울 수밖에 없을 것이다.

다시 ‘지옥’으로 돌아가서 내가 지금껏 공부한 바에 따르면 천사 같은 존재가 나타나 당사자가 죽는 정확한 시간을 가르쳐 준 사례는 없다. 그런데 천사 같은 존재가 나타나는 경우는 많이 보고되고 있다. 이것이 유명한 ‘임종 침상 비전’(death bed vision)이다. 자신의 임종이 불과 며칠 뒤로 다가오면 먼저 돌아가신 분들이나 당사자를 안내할 수호령들이 나타나는 경우가 꽤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들이 ‘지옥’에 나오는 것처럼 시커먼 괴물이 돼 극히 혐오스러운 자태로 나타난 적은 없었다. 그들은 우리가 몸을 벗을 때가 되면 조용히 나타나서 옆에서 기다린다고 한다. 그러니 ‘당신은 언제 죽을 것이고 게다가 큰 죄를 저질렀으니 우리가 엄하게 다스리겠소’ 하는 식의 으름장은 아예 없다. 그저 조용히 기다리면서 당사자가 편안하게 임종하는 것을 지켜볼 뿐이다.

임종 시 헛것을 보면서 공포에 질리는 사람도 있다고 한다. 그러나 그것은 당사자의 마음이 불안해져 스스로 만들어 낸 것이지 저승사자들이 윽박질러서 겁에 질렸기 때문이 아니다. 이런 사람들은 생전에 다른 사람을 많이 괴롭혔을 확률이 높다. 남에게 해를 끼친다는 것은 똑같은 양의 증오나 공포가 내 마음에 쌓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감정이 임종 때 몰려오면 편안하지 못하게 임종을 맞이할 수 있다.

그러나 자연은 인간이 편안하게 임종을 맞이할 수 있게 돕는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우리는 임종하는 사람들의 얼굴이 편안해지는 걸 목격할 수 있는데, 그것은 엔도르핀이 분비되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래서 그들의 얼굴이 마치 보톡스 맞은 것처럼 주름이 펴진다고 한다. 어떤 의사는 ‘임종을 막 한 환자들의 얼굴을 보면 그가 그 생에 어떻게 살았는지 알 수 있다’고 내게 말한 적이 있다. 그렇다면 결론은 아주 간단하다. 편안하게 임종을 맞이하려면 지금 그렇게 살아야 한다.
2021-12-22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