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대통령이 될 뻔한 기후특사/김상연 논설위원

[씨줄날줄] 대통령이 될 뻔한 기후특사/김상연 논설위원

김상연 기자
김상연 기자
입력 2021-04-14 20:18
수정 2021-04-15 01: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존 케리(78)는 2004년 미국 대선 때 민주당 대선후보로 나서 공화당 후보인 조지 W 부시 대통령에게 패했다. 미국이 사실상 양당제 국가라는 점을 감안하면 대통령이 될 뻔했다는 얘기도 된다. 그후 그는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2017년까지 국무장관을 지낸 것을 끝으로 뉴스에서 사라졌다. 그리고 지난해 11월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은 ‘대통령 기후특사’로 케리를 지명했다. 핵심 대선 공약인 기후변화 문제를 책임질 인물로 자신보다 앞서 대선후보를 지낸 ‘거물급’ 케리를 부른 것이다.

대선에서 진 뒤 기후변화 문제에 투신한 인물로는 앨 고어가 더 유명하다. 고어는 케리보다 더 대통령직에 가까이 갔었다. 그는 2000년 대선에서 부시 후보보다 전체 득표수에서는 54만표를 더 얻었음에도 미국 대선 제도 특유의 선거인단 확보에서 밀려 고배를 들었다. 더욱이 플로리다주의 재개표 과정을 놓고 논란이 있었다는 점에서 그는 몹시 억울할 만했다. 하지만 고어는 화병으로 앓아눕는 대신 환경운동가로 변신했고 그 공로로 2007년 노벨평화상을 받았다.

한국에서도 한때 ‘대권’을 꿈꿨던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현재 대통령 직속 국가기후환경회의 위원장으로 일하고 있다. 엄밀히 말하면 반 전 총장은 케리나 고어의 경우와는 다르다. 반 전 총장은 정치인이 아닌 직업 외교관 출신이었고 대선에 정식 후보로 나서기 전 중도 포기했기 때문이다. 그래도 능력을 사장시키지 않고 인류를 위한 일에 기여하는 것은 바람직해 보인다.

기후변화 문제는 당장의 먹고사는 일과는 무관한 것 같고 따분한 인상을 주기 때문에 일반인들은 무관심하기 십상이다. 이런 이슈에 인지도가 높은 거물 정치인이 관여하면 대중의 관심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미국에서는 대선 후보로 나섰다가 떨어진 정치인은 다시 출마하지 않는 게 관행처럼 돼 있다. 당내 경선에서 떨어진 경우는 재도전하는 게 어색하지 않지만, 본선 패배는 이미 국민의 심판을 받은 것으로 간주된다. 반면 한국에서는 대선후보로 나갔다가 떨어진 뒤 재수, 삼수를 해서라도 대통령이 되려는 경우가 다반사다. 하지만 정치권력을 잡는 것만이 국가에 기여하는 건 아니다. 환경운동처럼 대선후보 출신으로서 ‘네임 밸류’를 활용해 기여할 수 있는 값진 분야가 얼마든지 많다는 사실을 고어와 케리는 몸소 보여 준다.

그리고 그런 일은 대통령이 되겠다고 소셜미디어로 정적(政敵)에게 저주를 퍼붓는 것보다 훨씬 더 자기 자신의 행복지수를 높여 줄 수도 있다. 케리 특사가 오는 17일 한국을 방문한다. 그가 얼마나 행복해 보이는지, 관상(觀相)이 얼마나 좋아졌는지 꼼꼼히 살펴보자.

carlos@seoul.co.kr
2021-04-15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