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군대 반말/김상연 논설위원

[씨줄날줄] 군대 반말/김상연 논설위원

김상연 기자
김상연 기자
입력 2021-01-19 17:16
업데이트 2021-01-20 01: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02년 월드컵 때 한국 대표팀 감독으로 4강 신화를 이끌었던 거스 히딩크 감독의 리더십 중 하나가 경기장에서 선수들끼리 반말을 하도록 지시한 것이다. 한국 선수들이 특유의 선후배 문화로 경기 중 의사소통에 쭈뼛쭈뼛한 것을 목도한 히딩크는 “0.1초 사이에도 골을 먹는데 경기장에서 형님이라고 부르면 되느냐”면서 서로 존칭 없이 이름을 부르라고 했다는 것이다. 그래서 후배들이 “명보”(홍명보), “선홍”(황선홍)이라며 무람없이 불렀다고 한다.

남영신 육군참모총장은 지난달 21일 주임원사들과의 화상회의에서 “나이 어린 장교가 나이 많은 부사관에게 반말로 명령을 지시했을 때 왜 반말로 하냐고 접근하는 것은 군대 문화에 있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그러자 일부 주임원사가 남 총장의 발언은 인권침해라며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제기했다. 이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불붙었는데 원사들을 비판하는 여론이 많은 편이다. “원사들이 감히 참모총장에 대해 진정을 제기하다니 당나라 군대냐”, “그럼 전투 중에도 ‘돌격해 주시기 바랍니다’라고 존댓말을 써야 한다는 거냐”, “그러는 원사들은 사병한테 왜 반말을 하느냐”는 비난들이다.

사실 ‘나이 많은 하급자’에 대한 반말 문제는 군대뿐 아니라 우리 사회 모든 조직에서 볼 수 있는 딜레마다. 그런데 가만히 생각해 보면 상급자라고 해서 하급자에게 반말할 권리가 있다는 규정을 가진 조직은 대한민국 어디에도 없다. 심지어 상명하복 문화의 전형인 군대도 마찬가지다. 국방부 부대관리훈령에 상급자에게 ‘님’이라는 존칭을 붙인다는 규정이 있을 뿐이다.

이번 논란을 우리 사회 특유의 반말·존댓말 문화를 근본적으로 바꾸는 계기로 삼으면 어떨까. 상급자와 하급자가 서로 존댓말을 쓴다면 나이에 따른 딜레마가 해결될 것이다. 군대에서 반말을 해야만 상관이 권위를 갖는다는 생각도 편견이다. 알고 보면 ‘존댓말 지시’가 더 무서운 법이다. 군대 갔다 온 사람이라면 훈련소에서 빨간 모자를 쓴 조교들이 “정말 이런 식으로 할 겁니까”라고 서슬퍼런 존댓말로 으름장을 놓던 기억을 떠올려 보면 된다. 긴박한 상황에서는 “돌격 앞으로”와 같은, 반말도 존댓말도 아닌 명령어를 쓰면 되니 문제없다.

대신 하급자가 명령을 불이행할 때는 추상같은 군율로 다스리도록 상급자에게 폭넓은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 사실 남 총장이 주임원사들에게 그런 당부를 한 것은 최근 하극상 사건이 늘어나는 추세를 감안했다는 분석도 있다. 그렇다 해도 히딩크라면 그런 식의 당부는 하지 않았을 것이다. 모두 다 반말로 하는 게 안 되면 모두 다 존댓말로 하도록 통일하지 않았을까.

carlos@seoul.co.kr
2021-01-20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