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고소득과 행복경제학/박건승 논설위원

[씨줄날줄] 고소득과 행복경제학/박건승 논설위원

입력 2016-12-11 22:34
업데이트 2016-12-12 00: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행복은 소득 순이라면서도 ‘돈으로 행복을 살 수 있느냐’고 물으면 머뭇거리는 이들이 적지 않다. 역설적이지 않을 수 없다. 소득과 행복의 상관관계에 관한 가설로 ‘이스털린 역설’이란 게 있다. 1974년 미국 남가주대 리처드 이스털린 교수가 30개국의 1인당 국민총생산(GNP)과 그 나라 국민의 행복도를 비교했더니 관련성이 없더라는 것이다. 1960년 서독의 1인당 GNP는 나이지리아의 20배였는데 행복도는 낮았다. 물질적 풍요만으로 행복할 수 없다는 것이 요체다. 이로부터 34년 뒤인 2008년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벳시 스티븐슨 교수는 행복도와 GNP를 단순 비교하는 것이 오류라고 반박하고 나섰다. 같은 1달러를 더 벌더라도 대기업 임원과 최저임금 근로자에게 그 의미는 다르기 때문에 소득과 행복감이 무관하다고 단정 지을 수 없다는 얘기다.

2010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미국 프린스턴대 앵거스 디턴 교수는 소득과 직장인 행복이 연봉 7만 5000달러(약 8800만원)에서 교차하며, 여기에서 행복도가 멈춘다는 학설을 내놓았다. 2008년부터 이태 동안 미국인 45만명을 설문한 통계 결과였다. 연봉이 5000만원에서 6000만원, 7000만원으로 올라가면 소득과 비례해 행복감이 높아지지만 8800만원에 이른 뒤로는 연봉이 더 뛰더라도 비례해서 행복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연봉 10만 달러이던 사람이 15만 달러를 벌게 됐는데, 7만 5000달러 한계치를 넘었다고 해서 전혀 더 행복하지 않다는 얘기는 아니다. 소득이 일정 수준에 도달한 뒤로는 행복도가 소득 이외의 다른 요인에 영향받을 소지가 매우 크다는 뜻이다. 공교롭게도 우리나라 개정 소득세법을 보면 연소득 8800만원 초과자의 소득세율은 35%, 그 이하 소득자는 15%다. 연봉 8800만원을 전후해 소득세율이 무려 20% 포인트나 차이 난다는 사실은 ‘8800만원 꼭짓점설’과 상통하는 것으로 볼 수 있겠다. 연봉 8800만원은 억대에 근접한 것으로 부러움의 대상이지만 정작 당사자는 ‘빛 좋은 개살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한국 직장인의 행복지수가 우리 경제규모 순위인 세계 11위에 크게 못 미친다는 글로벌 리서치기업 ‘유니버섬’의 조사결과가 나왔다. 전 세계 57개국 직장인 20만명의 행복도를 알아봤더니 한국은 최하위권인 49위에 머물렀다. 업무와 일상적인 생활 간에 조화를 잘 이루지 못한 탓이라고 한다. 이 또한 경제력이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돈보다 다른 요인이 행복도를 더 좌우함을 시사해 주는 것이다. 소득이 높다고 해서 마냥 더 행복해지지 않다는 것은 가난한 사람이 1달러를 더 버는 일이 부자가 1달러를 더 버는 일보다 행복증대 효과가 크다는 방증이기도 할 것이다. 이는 중산·서민층이 고소득층보다 돈을 더 많이 벌 수 있도록 하는 소득정책에 방점을 찍어야 하는 이유 아니겠는가. 말로만 ‘국민행복시대’를 외칠 일이 아니다.

박건승 논설위원 ksp@seoul.co.kr
2016-12-12 31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