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병합승차권/정기홍 논설위원

[씨줄날줄] 병합승차권/정기홍 논설위원

입력 2015-01-23 18:04
업데이트 2015-01-23 22: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학생 시절에 학생증과 비슷하게 생긴 열차 통학승차권을 한 달치로 끊었다. 할인을 해 주었다. 그런데도 승차권 구입용 돈은 군것질로 쓰고, 차장(승무원)과 숨바꼭질하며 ‘도둑 열차’를 타고 다니곤 했다. 차장이 차표(승차권) 검사를 하면 슬슬 뒷걸음질치다가 다음 역에서 잽싸게 내려 검사를 마친 앞칸으로 옮겨 타며 눈을 속였다. 더러 승·하차를 하는 승강대 손잡이를 잡고 숨바꼭질도 했으니 자칫 손잡이를 놓치면 위험천만한 사고가 날 일이었다. 내려서는 개찰구를 피해 철로를 따라 숨어 도망쳤다. 철없던 때의 열차승차권 추억의 한 언저리로 남아 있다.

열차 승차권이 세상에 나온 것은 1840년이다. 영국의 한 철도회사 역장이던 토머스 에드몬슨이 발권 시스템을 개발하면서다. 당시 영국의 철도회사들은 수기식으로 발권을 했는데 역무원들이 이를 조작해 운임을 떼먹는 부정이 잦아 비리를 없애려고 도입했다고 한다. 2.5】5㎝ 크기의 마분지에 출발역과 도착역, 출발시간, 열차번호, 운임 등을 적었다. 발권을 할 때 날짜를 찍고 개찰 때엔 가위로 승차권 일부를 잘라 다시 사용을 못 하게 했다. 우리나라 열차 승차권의 역사도 올해로 116년이 된다. 최초의 철도인 경인철도(노량진~제물포)가 1899년 개통하면서 에드몬슨식 승차권 제도가 도입됐다. 이 승차권은 인터넷 발권이 시작되면서 2004년 퇴역해 사라졌다.

열차 승차권은 철도 역사만큼이나 종류도 다양하다. 특실승차권과 보급승차권, 침대승차권 등 생경한 이름도 많다. 일제강점기에는 특별·준·보통급행권도 있었다. 할인승차권에 2할, 3할, 5할 등으로 도장을 찍은 것도 새롭게 보인다. 승차권에 목적지를 기입하지 않아 예를 들어 ‘서울→(공란)’이나 ‘서울→200㎞까지, 400㎞까지, 401㎞ 이상’ 등으로 표시한 때도 있었다. 장수만세 TV 프로 출연자에게 특실 1회 왕복권(2인)을 주고 희망 구간을 공란으로 둔 것도 특이한 사례다. 통학 정기승차권에 학교와 이름, 나이를 기입하게 한 적도 있어 지금 시각으로 보면 개인정보 누출 논란을 부를 일이다. 하지만 승차권들은 저마다의 얼굴을 내밀며 지난 세월을 새록새록 떠올리게 만든다.

코레일이 3월부터 일부 구간에선 좌석으로, 나머지 구간에선 입석으로 목적지까지 가는 ‘병합승차권’을 인터넷에서 구입토록 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에서 부산을 갈 때 좌석이 없으면 중간 역까진 입석으로, 나머지 구간은 좌석에 앉아 가는 방식이다. 편리하게 됐다. 명절 때 승차권 한 장을 쥐고 숨막히는 3등 객차 안에서 한나절을 타고 고향을 찾았던 시절을 생각하면 격세지감이다. 첨단 기술에 자리를 하나씩 빼앗기는 시절이다. 머지않아 병합승차권도 다음에 등장할 첨단 승차권 발권 기술에 자리를 내줄 것이다. 마지막 남는 건 추억이고 향수가 아닌가 한다. 그래도 열차 여행의 느긋한 맛은 가시지 않아야 하겠다.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5-01-24 23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