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보이지 않는 아픔/김성호 선임기자 겸 논설위원

[길섶에서] 보이지 않는 아픔/김성호 선임기자 겸 논설위원

김성호 기자
입력 2016-03-17 18:22
수정 2016-03-17 18: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탈까, 말까. 한참을 망설이다 몸을 맡겼다. 퇴근길 지하철 객차에서 내린 몸 상태가 최악이다. 식은땀이 줄줄 흐르고 머리가 빙빙 도는 게 탈이 크게 난 듯하다. 웬만하면 계단을 오를까 했는데, 영 자신이 없다. 평소 몸이 안 좋을 때 기웃기웃하다 계단을 택하곤 했는데. 오늘은 도저히 승강기 신세를 지지 않으면 안 될 듯하다.

만원이다. 벽을 향해 섰는데 뒷덜미가 뜨겁다. 시선 탓일까, 자격지심일까. “누구에겐 순간의 편리함이지만, 누구에겐 유일한 통로입니다.” 노인의 낭랑한 목소리가 귀를 때린다. 승강기 벽에 붙은 문구를 읽어 내리는, 다분히 고의적인(?) 낭독이 끝날 무렵 추임새처럼 여러 목소리가 얽힌다. “웬만하면 젊은 사람들은 걸어다니지.”

괜한 짓을 했나 보다, 그냥 계단으로 올라갈 것을. 그런데 왠지 야속하다. 서 있기도 힘들 만큼 아픈데. 식은땀이 줄줄 흐르는데. 그리고 내 나이도 50대 중반을 넘겼으니 새파랗게 젊은 것도 아닌데…. 노인들이 다 내릴 때까지 기다렸다가 승강기 문을 나서는데, 왠지 씁쓸하다. 보이는 아픔만 아픔일까? 보이지 않는 아픔도 이렇게 큰데….

김성호 선임기자 겸 논설위원 kimus@seoul.co.kr
2016-03-18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