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경우의 언파만파] 부처님오신날

[이경우의 언파만파] 부처님오신날

이경우 기자
입력 2021-05-23 20:18
업데이트 2021-05-24 01: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세상에 태어난 날 ‘생신’(生辰)은 ‘생일’(生日)의 높임말이다. 이 낱말들의 ‘신’(辰)도, ‘일’(日)도 고유어 ‘날’과 통한다. ‘일’이 ‘날’과 의미가 통한다는 건 ‘공휴일’, ‘기념일’, ‘매일’, ‘월요일’처럼 일상에서 흔히 쓰는 말에서도 쉽게 확인된다. 그렇지만 ‘신’에 ‘날’의 의미가 있다는 건 ‘생신’과 ‘생일’을 비교할 때 겨우 확인된다. 그것도 누군가 말을 꺼내야 ‘아, 그렇지’ 하고 다시 깨닫게 될 때가 많다. 그만큼 ‘생신’의 ‘신’은 ‘날’과 꽤 멀리 있다고 보인다.

“임금이나 성인이 태어난 날”을 가리키는 ‘탄신’으로 가면 ‘신’은 ‘날’과 더 멀어진 듯하다. ‘탄신’은 흔하지만 ‘탄일’은 드문 것도 이유일 수 있다. ‘세종대왕 탄신일’, ‘이순신 장군 탄신일’이라고 한다. 이를 놓고 한쪽에서는 ‘생신’과 ‘생일’의 관계를 예로 들어 가르친다. ‘탄신’에 ‘일’, ‘날’의 의미가 있으니 뜻이 겹친다고 설명한다. 그렇지만 ‘세종대왕 탄신’이나 ‘이순신 장군 탄신’은 낯설게 받아들이는 사람들이 많다. ‘탄신’이 아니라 ‘탄신일’이어야 자연스럽고 의미가 잘 통한다고 본다. ‘신’과 ‘일’이 비슷한 의미를 가진 말이기는 하지만, 똑같다고 여기는 건 아닌 것이다. ‘생일’의 ‘일’과 ‘날’과 통한다는 걸 알아도 ‘생일날’이라고도 말한다. ‘생신’에도 ‘날’이 쉽게 붙는다. ‘신’과 ‘일’과 ‘날’이 똑같은 말이라고 보기 어려운 것이다. 뉘앙스, 어감의 차이도 있다.

지금은 ‘부처님오신날’이 됐지만, 오랫동안 부처가 태어난 날을 가리키는 명칭은 ‘석가탄신일’이었다. 불교계는 1975년 ‘석가탄신일’이 공휴일로 지정된 뒤 줄곧 ‘부처님오신날’로 명칭을 변경해 줄 것을 정부에 건의했다. ‘석가’가 ‘샤카’라는 인도의 특정 씨족 이름을 가리킨다는 것과 ‘한글화 추세’에 따라 부처님오신날이 더 적합하다는 이유를 들었다. 여기서 ‘한글’은 문자 이름이니 쉬운 우리말을 쓴다는 취지겠다. 이 과정에서 ‘탄신일’과 ‘탄신’의 문제 역시 불거지기도 했다. 불교계는 또 ‘석탄일’이라는 약칭은 광물 석탄과 헷갈릴 수도 있다고 했다. 2017년 10월 10일 국무회의에서 ‘부처님오신날’이 공식 명칭으로 확정됐다.

말은 사소한 것이든 커다란 것이든 늘 논란이다. 불교에서는 언어를 극히 경계한다. 언어는 사실이 아니라 이미지이고 껍데기 같은 것일 뿐이라고도 한다. 언어는 진실을 드러내기보다 쉽게 왜곡할 수 있다고 본다. 그렇지만 인간은 진실에 이르는 길에 언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고도 한다. 적절한 말, 상황을 온전하게 반영하는 말을 찾는 데 끊임없이 수고로울 수밖에 없다.

2021-05-24 27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