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경우의 언파만파] LH와 한국토지주택공사

[이경우의 언파만파] LH와 한국토지주택공사

이경우 기자
입력 2021-03-21 20:16
업데이트 2021-03-22 03: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여덟 글자나 된다. 명칭이 길어 ‘과기정통부’라는 약칭으로도 흔히 불린다. 정부 부처 가운에 명칭이 긴 곳은 이처럼 대부분 약칭을 가지고 있다. 정해진 규칙에 따라 공식적으로 정해 혼란을 피한다. 국토교통부는 ‘국토부’,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는 ‘산업부’로 줄인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처럼 긴 이름을 가진 곳은 ‘행복청’으로 쉽고 간결하게 줄였다.

정부 부처들은 이런 약칭 외에 영어로 된 명칭도, 영어 약칭도 있다. 영어로 다른 나라에 소개할 일이 있기 때문이다. 과기정통부의 영어 약칭은 ‘MSIT’, 국토부는 ‘MOLIT’, 농식품부는 ‘MAFRA’다. 그러나 정부 부처들은 우리나라 국민들을 대상으로 할 때는 영어로 된 명칭이나 약칭을 쓸 일도 없고 쓰지도 않는다. 만약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세계화 시대라며 국민들을 대상으로 약칭을 ‘과기정통부’ 대신 ‘MSIT’를 주로 사용한다면 적지 않은 비판에 시달릴 것이다. ‘과기정통부’는 쉽게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연결되지만 ‘MSIT’는 전혀 상관없는 곳처럼 비쳐진다. 국어기본법에 공공기관의 공문서는 한글로 작성하라고 돼 있기도 하다.

10여년 전 주요 공기업들이 앞다퉈 영어 명칭을 도입했다. 직원들의 땅투기 의혹을 받고 있는 한국토지주택공사도 그 가운데 하나였다. 2009년 10월 대한주택공사와 한국토지공사가 합쳐져 만들어진 한국토지주택공사는 우리말 약칭은 정하지 않았다. 이전의 약칭은 각각 ‘주공’, ‘토공’이었다. 토지주택공사는 우리말 약칭 대신 영어 약칭 ‘LH’를 제시한 뒤 사용하기로 했다. ‘L’은 ‘LAND’, ‘H’는 ‘Housing’의 머리글자였다. 이후 토지주택공사는 ‘LH’를 줄곧 사용했고, 언론 매체들도 대부분 이를 그대로 따랐다. 일부에서 ‘LH’가 마치 ‘내’ 자와 같다고 조롱했으나 별 문제가 되지 않았다. ‘LH’가 바로 ‘한국토지주택공사’를 떠올리게 하지 않는다는 것도 넘어갔다.

공기업인 한국토지주택공사 직원들의 부도덕성을 전하는 소식들에서 ‘LH’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토지주택공사 직원’이 아니라 ‘LH 직원’이 더 흔하게 보인다. 이제 ‘LH’가 ‘한국토지주택공사’라는 게 더 알려졌다지만, 그리 선명한 건 아니다. 이러면 아무래도 사태가 덜 심각하게 보일 수도 있다. 공기업 토지주택공사라는 명칭이 흐릿해지기 때문이다.

공기업은 공공의 복리를 증진하기 위한 기업이다. 명칭을 포함해 이곳에서 사용하는 언어 또한 이에 맞게 투명해야 한다.

wlee@seoul.co.kr
2021-03-22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