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경우의 언파만파] 국어사전의 기술

[이경우의 언파만파] 국어사전의 기술

이경우 기자
입력 2021-02-14 20:58
업데이트 2021-02-15 01: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건 나무요, 저건 풀이요, 그건 꽃이다.” 여기서 ‘나무’와 ‘풀’ 뒤에 붙은 ‘요’는 ‘나무’와 ‘풀’을 나열한다. 그러면서 다음에 오는 말과 연결해 준다. “그렇게 했어요”의 ‘요’와는 전혀 관계가 없다. ‘했어요’의 ‘요’가 ‘했어’에 ‘요’를 붙여 상대를 높인다면 ‘풀이요’의 ‘요’는 ‘풀’에 ‘이요’가 붙은 것이고 상대를 높이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꽃이다’의 ‘이다’가 활용한 형태의 ‘이요’다. ‘이고/이네/이니/이니까/이어서/이지’ 등으로 활용되는 ‘이다’의 한 형태다. ‘나무이다’ 대신 ‘나무다’라고 ‘이’가 생략되듯 ‘나무요’에서도 ‘이’가 떨어졌다. ‘-이요’의 ‘요’는 “이건 나무고, 저건 풀이고, 그건 꽃이다”의 ‘(이)고’와 같은 기능을 한다. 역사적으로도 이때의 ‘요’는 ‘고’의 ‘ㄱ’이 약화된 형태이기도 하다.

문장 가운데뿐만 아니라 끝에도 ‘(이)요’가 온다. ‘했어요’처럼 존대의 표시다. 한데 식당에 가서 “여기 냉면이요”라고 말하면 얼마 전까지는 표준어가 아니었다. “냉면요”라고 해야 ‘맞는 말’로 취급됐다. 표준어의 틀에서는 문장 끝에서 상대를 존대하는 말은 ‘요’뿐이었다. “저 애는 누구지”라고 물었을 때 “친구요”라고 답하듯 “냉면요”가 규범이었다. ‘저건 풀이요, 그건 꽃이다’에서처럼 일상의 말들은 “여기 냉면이요”였지만, 규범적인 표현은 “냉면요”였다. 교과서도, 현실보다 규범을 더 존중하는 매체들도 다 그랬다. ‘사람요’, ‘동물요’, ‘짬뽕요’라고 적었다. 규범을 우선시하는 게 말글살이를 더 효율적으로 하는 것이라고 판단한 것이다. 어떤 국어사전도 ‘이요’를 표제어로 올리지 않았다. ‘요’가 바른 것이니 이것을 따르라는 신호였다.

최근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 ‘이요’가 표제어로 실렸다. “(받침 있는 체언이나 부사어 따위의 뒤에 붙어) 주로 발화 끝에 쓰여 청자에게 존대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 ‘여기 냉면이요’, ‘거스름돈이요’, ‘가득이요’ 같은 예문이 올랐다. 물론 기존의 규범이었던 ‘냉면요’, ‘거스름돈요’, ‘가득요’도 규범이다. ‘냉면요’를 썼다고 지적받지 않아도 된다.

표준국어대사전은 국가가 만들어 가는 대표적인 규범 사전이다. 현실의 쓰임새를 바로 반영하기보다 기존 규범과의 관계를 엄밀히 따진다. 그러다 보니 종종 현실과 차이를 보인다. ‘이요’를 반영한 건 현실을 있는 그대로 기술(記述)한 것이다. 표준사전은 국어생활을 하는 데 가장 영향력 있는 사전이다. ‘이요’를 표제어로 올렸듯이 더 유연하고 친절한 국어사전이 되기를 바란다. 현실을 더 정확하게 담은 사전이 권위 있는 사전으로 가는 길이다.

어문부 전문기자 wlee@seoul.co.kr
2021-02-15 27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