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우의 언파만파] 574돌 한글날을 보내고

[이경우의 언파만파] 574돌 한글날을 보내고

이경우 기자
입력 2020-10-11 17:38
업데이트 2020-10-12 00: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 ‘훈민정음’, 크고 위대한 문자 ‘한글’ 반포 574돌이 지났다. 세종이 생각한 정치는 백성들과 함께하는 것이었다. 백성들의 뜻도 그랬다. 백성들이 언어생활에 어려움을 겪으면 함께하는 정치는 이룰 수 없었다. 그래서 세종은 정말 쉽고도 과학적인 문자를 만드는 데 온 힘을 기울였다. 나라를 잃은 시기 주시경은 우리말을 연구하고, 한글을 교육하고, 국어사전을 만들기 위해 밤낮을 가리지 않았다. 주시경은 ‘말이 올라야 나라가 오른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모두가 바라는 정치는 함께하고 공감을 얻는 데 있을 것이다. 그러려면 정치의 언어가 먼저 그렇게 나타나야 한다. 공격과 비난과 비방과 무시를 위한 언어가 아니라 이해와 설득과 포용의 언어가 보여야 한다. 막무가내식 언어가 아니라 논리적 사고가 담긴 상식적 언어, 일상의 언어, 경청의 언어가 넓게 퍼져야 한다. 이런 기대를 저버리는 정치의 언어는 철저히 퇴출돼야 한다. 그것이 정치가 성숙해지는 길이다.

공문서들의 문장은 간결해져야 한다. 공문을 작성하는 공무원들이 늘 염두에 두고 있어야 할 덕목이다. ‘동년, 동월, 동기, 금일’ 같은 이전 시기의 낱말 대신 현재의 낱말을 선호해야 마땅하다. 이전의 관습이나 방식에 따르지 말고 과감하게 현실과 시대를 반영한 문장과 틀로 옮아가야 한다. 무겁고 장황한 문장과 낱말을 사용하는 건 권위를 보이는 것과 같다. 쉽고 편하고 일상적인 문장을 쓰는 게 국가와 국민에게 봉사하고 민주적인 사회를 이루는 바탕이라는 걸 잊지 말았으면 좋겠다.

기업이 사회에 내놓는 언어도 공적이다. 국내에서 소비자들은 곧 국민이다. 기업들은 기업의 언어도 공적인 부분이 있다는 것을 자각하고 책임의식을 가져야 한다. 한글 대신 지나친 로마자가 우선시될 때가 적지 않다. 강조와 세련미 이전에 소통을 막는 일이다. 언어를 통해 상업성만을 추구하지 말아야 한다. 소비자를 올바르게 대하고 있는지도 돌아봐야 한다. 소비자들에게 인정받고 전달될 수 있도록 제품을 디자인하듯 제품의 설명은 간결하고 쉬운 문장들로 이뤄져야 한다.

저널리즘이 읽히고 소비되는 이유는 언어의 쉬움에도 있다. 쉬운 언어는 저널리즘의 중요한 가치다. 독자와 시청자들은 이것만 요구하지 않는다. 이들은 저널리즘에 공정하고 더 정확한 언어를 쓰라고 말한다. 동시에 질서 있는 언어로 우리의 언어 문화를 가꿔 나가는 데도 도움이 되라고 한다.

wlee@seoul.co.kr

2020-10-12 27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