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시론]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예술’/백선혜 서울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시론]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예술’/백선혜 서울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입력 2021-03-22 20:22
업데이트 2021-03-23 01: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백선혜 서울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백선혜 서울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레오 리오니의 칼데콧 아너상 수상작 ‘프레드릭’은 발표된 지 40년이 훌쩍 지났음에도 여전히 걸작 그림책 중 하나로 사랑받는 작품이다. 부지런한 들쥐 가족이 추운 겨울을 대비해 밤낮없이 식량을 모으고 있다. 그러나 프레드릭만은 바삐 움직이는 형제들 곁에 우두커니 앉아 있다. 왜 일을 하지 않느냐는 형제들의 질문에 프레드릭은 자신도 일을 하고 있노라고 대답한다. 춥고 어두운 겨울을 대비해 햇살과 색깔, 이야기들을 모으는 중이라고. 춥고 긴 겨울을 보내며 식량이 동나고 모두가 힘겨워졌을 때, 프레드릭이 모았던 양식이 진실로 빛을 발한다. 프레드릭은 따사로운 햇살이며 아름다운 풀밭 이야기를 들려주며 형제들을 위로하고, 형제들은 기뻐하며 프레드릭에게 박수를 보낸다.

코로나19가 전 세계를 휩쓸기 시작했던 지난해, 세계 여러 나라들에서 긴급 예술지원 정책들을 발표했다. 그 과정에서 독일 문화부 장관인 모니카 그뤼터스가 했던 말이 계속 필자의 뇌리에 남아 있다. 요약하자면 문화는 좋은 시절에만 누리는 사치품이 아니라 인류의 표현방식이며, 위기의 시기일수록 예술가들이 발휘해 온 창조적인 힘이 더욱 요구된다는 것이다.

프레드릭을 대하는 형제들의 태도나 그뤼터스 장관의 말에서, 예술을 대하는 자세가 우리와 사뭇 다름을 알 수 있다. 프레드릭의 형제들은 프레드릭의 일을 자신들의 노동과 동일하게 대우한다. 그뤼터스 장관은 사회가 어려울수록 예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우리 사회에서는 예술을 ‘있는 사람이 부리는 여유’ 정도로 치부할 때가 많은 것 같다. 그러니 예술 지원을 논할 때면 ‘자기가 좋아서 하는 일’을 왜 지원해 주느냐는 질문이 잇따르곤 한다. 예술이 사회 유지에 필수적이지 않은데 세금을 써 가며 지원해 줘야 하는가 하는 의구심이 깔려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일견 예술은 우리가 당장 ‘먹고사는’ 문제와 거리가 있어 보일 수도 있다. 그렇지만 사실 우리는 아주 일상적으로 예술의 효용을 누리며 살아가고 있다. 노래방에 가서 스트레스를 풀고 영화를 보면서 위안을 얻지 않는가. 긴장을 풀고 상처를 달래는 힘 덕분에, 인생은 짧아도 예술은 긴 것일 터이다. 앞으로 예술은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도 더욱 필요해질 것이다. 우리는 역사상 가장 문화적으로 다양한 시대에 살고 있다. 민주주의 사회에서 다양한 가치와 문화가 발화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다름을 인정하지 못해 갈등과 배척으로 이어지는 균열의 순간 역시 비례해 늘어나고 있다. 문화다양성 사회의 유지를 위해서는 차이를 차별하지 않고 존중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되는데, 이를 해결하는 근본 바탕에는 각자의 입장을 경험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코로나19로 인해 전 세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예술가들이 처한 어려움은 심각 단계를 넘어선 경우가 많다. 그러나 예술 지원정책이 예술가가 어려우니 도와야 한다는 시혜적 차원에서 출발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예술은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필수적이기 때문에, 어떠한 상황에서도 예술 활동이 유지될 수 있도록 지켜내야 하는 것이다. 유네스코는 이미 1980년에 ‘예술인의 지위에 관한 권고’를 통해 사회가 예술 활동을 지속가능하게 할 책무가 있음을 천명한 바 있다.

예술 활동의 유지를 위해서는 예술 활동을 그 결과물로서만 인정하는 사회 통념을 바꾸는 것이 필요하다. 사실 지금까지 많은 공공지원은 작품이나 전시와 같은 결과물에 대한 지원금 지급이 중심이었다. 그러나 예술 작품을 만들기 위해서 필요한 준비 시간 역시 예술 활동으로 인정하고 지지해 주어야 한다. 프레드릭의 형제가 햇살과 색깔 모으기 같은 프레드릭의 일을 인정해 주지 않았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그는 자신이 모은 양식을 풀어 보기도 전에 굶어 죽었을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최근 서울시와 서울문화재단이 예술 지원정책의 범위를 넓히고 있어 반갑다. 기존의 지원체계에 더해, 창작 사전준비단계 및 연습ㆍ발표공간, 예술인 연구모임 등 작품 준비부터 연습, 발표까지 이어지는 전 과정을 긴 호흡으로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이것이 예술 현장과의 지속적인 논의를 통해 시도되는 변화라는 점에서 더 의미가 있다. 물론 아직은 예술 현장에서 불충분하다고 여겨질 수도 있고 제도적 한계 등 풀어야 할 과제도 많을 것이다. 그렇지만 예술 지원체계에서 의미 있는 시도임에 분명하며, 앞으로도 이러한 변화들이 계속 확장되기를 바란다.
2021-03-23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