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강희정의 아시아의 美] 유연한 강자의 미학, 전사 두르가 여신/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강희정의 아시아의 美] 유연한 강자의 미학, 전사 두르가 여신/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입력 2022-11-20 20:20
업데이트 2023-02-15 10: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여성은 세계 어디에서든 작고 연약하고 힘없는 존재로 묘사된다. 우리 주변에서 목청 높여 큰소리로 말하고, 싸우기도 하는 여성들을 얼마든지 볼 수 있지만 그들은 대개 ‘제3의 성, 아줌마’로 여겨질 뿐이다. 예술 속 여성들도 한결같이 약해서 피해를 보거나 판단력이 부족해 이용당하고 사기당하는 존재로 그려지곤 한다. 아시아의 미술은 좀 다르다. 여성이 미술에 표현되는 경우가 드물기도 하지만 초상화나 조각은 대부분 신분이 높은 사람이나 신격화된 사람을 재현하는 만큼 약하고 부족한 존재로 나타내기 어렵기 때문이다.

강한 여성을 묘사한 미술로 인도ㆍ동남아의 여신상을 들 수 있다. 인도에서는 대략 6세기경부터 샥티라고 하는 여성의 에너지를 숭배하는 샥티즘이 발전하기 시작했고, 동남아도 그 영향을 받아 여성형 신상을 다수 조성했다. 대개 힌두교 여신상이며 우마와 데비, 타라 등이 만들어졌다. 이들은 우아하고 여성적인 미모를 자랑할 만한 외형을 보여 준다. 하지만 인도에는 파괴와 죽음, 변화를 관장하는 칼리나 악마를 무찌른 여전사 두르가같이 무시무시한 여신도 있다. 흥미로운 것은 인도에서 무시무시하게 표현된 여신이 동남아에서는 다른 여신들처럼 온화하고 부드럽게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이미지 확대
두르가, 7세기, 캄보디아, 165㎝, 캄보디아국립박물관.
두르가, 7세기, 캄보디아, 165㎝, 캄보디아국립박물관.
일찍이 인도 문화의 영향을 받은 동남아에는 고대 인도 대서사시 ‘마하바라타’, ‘라마야나’와 함께 힌두교 미술도 전해졌다. 그 중 두르가는 시바만큼 흉포한 파괴의 신으로 알려졌고, 그만큼 강한 힘을 가진 모습으로 표현됐다. 인도 신화 속 두르가는 1000개의 팔을 지니고, 어떤 신도 물리치지 못했던 악마를 무찌르는 전사로 이야기된다. 온갖 모습으로 둔갑한 악마가 행패를 부리다가 마히샤라는 물소로 변신해 살육에 나서자 두르가가 이를 제압하며 신과 인간의 세계를 모두 구했다는 내용이다. 하지만 실제 미술로는 4~10개 정도 팔을 지닌 형상을 보인다. 극악무도한 악마를 물리친 힘과 용맹의 상징이니 인도에서 두르가는 강인한 전사로 나타나지만 동남아에서는 우마나 데비와 별다를 것이 없는 평화로운 여신처럼 만들었다.

캄보디아의 삼보르프레이쿠크에서 발견된 두르가상은 두르가처럼 보이지 않는 우아한 여신의 모습이다. 삼보르프레이쿠크는 7세기 초 캄보디아의 고대 왕국 첸라의 수도 이사나푸라가 있던 곳이다. 이곳의 두르가상은 머리도 없고, 팔과 발도 깨진 상태다. 그러나 생생한 인체의 곡선이 주는 아름다움은 그리스의 비너스에 견줄 만하다. 아마도 그의 발아래 대좌에는 물소로 변신한 마히샤가 있었을 것이다. 다만 이 두르가상은 처절한 사투 끝에 마히샤를 물리치고 승리의 기쁨에 들뜬 모습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악마가 와서 저도 모르게 무릎을 꿇었을 듯한 눈부신 아름다움이다. 가슴에서 배로 이어지는 곡선의 미와 탄탄한 신체에 보이는 자연스러운 양감 묘사는 조각가의 재능과 기술적 숙련이 완성 단계에 이르렀음을 입증한다. 강해 보여야 강한가? 갈대가 강풍을 이기는 것도 다 이유가 있는 법이다.

2022-11-21 26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