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속 한줄] 밤새워 찾아가는 신문/김기중 기자

[책 속 한줄] 밤새워 찾아가는 신문/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1-11-04 20:30
수정 2021-11-05 01: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영화에서, 신문은 주로 미친 듯이 돌아가는 윤전기 소리와 가판대 앞 신문 판매원의 열띤 외침 소리로 등장한다. 그러나 새벽의 우편함에서 발견하는 신문에는 그와 같은 결기가 없다. 현재인 척하는 이 기사들은 졸음과 싸워 가며 밤새워 우리를 찾아온 것이다.(32쪽)

세상이 너무나도 빠르게 돌아간다. 스마트폰만 켜면 바로 지금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알 수 있다. 어제 일어난 일을 아침에야 알려 주는 종이뭉치의 효용은 무엇이란 말인가. ‘신문은 더이상 신문(新聞)이 아니라 구문(舊聞)’이라는 실없는 농담을 떠올린다. 신문사 기자로 잡문을 쓰며 사는 이로선 불안감마저 느낀다.

항간에 떠도는 자극적인 소문을 다루고 기본적인 사실 확인도 거치지 않은 기사들이 온라인 공간을 메운다. 한발 늦었지만 좀더 정확하게, 좀더 풍부하게 쓰자며 반면교사로 삼는다. 내가 어제 쓴 기사들이 밤새워 독자를 찾아갔을 때 그들을 기쁘게 할 수 있길 바라며.

소개한 부분만 보면 무거운 책 같지만, 필리프 들레름의 ‘크루아상 사러 가는 아침’(문학과지성사)에 실린 글은 아름답기 그지없다는 것을 알려둔다. 새벽 거리에서 갓 구운 크루아상을 먹는 일, 맥주 첫 모금의 의미, 바닷가에서 책 읽기의 즐거움, 지하 저장고에서 익어 가는 사과향의 풍부함 등 인생의 빛나는 조각들을 잘 다듬어 담아낸, 인생예찬집이다.

2021-11-05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