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의 날개달린 세상] 첫사랑/탐조인·수의사

[주인의 날개달린 세상] 첫사랑/탐조인·수의사

입력 2021-08-29 17:20
수정 2021-08-30 13: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경기 고양시 집 인근 개천의 쇠백로. 2020.4.11.
경기 고양시 집 인근 개천의 쇠백로. 2020.4.11.
사랑은 어떻게 올까? 첫눈에 반하는 그런 사랑도 있고 자꾸 보다 보니 가랑비에 옷 젖듯 어느덧 사랑해 버린 경우도 있을 것이다. 나는, 후자였다.

그는 눈부신 초록을 배경으로 하얗고 긴 목과 긴 다리를 뽐내며 우아하게 서 있었다. “우와아, 멋있어!” 하며 계속 눈길을 주다 보니 나는 그의 이름을 알고 싶어졌고, 그의 이름을 불러 주고 싶어졌다. 그렇다, 나는 사랑에 빠진 것이다. 그래서 그저 ‘하얗고 목 긴 새’였던 그의 이름을 알기 위해 도감을 샀고, 백로라는 것을 알게 됐다.

그런데 이름이 그저 ‘백로’가 다가 아니었다. 우리나라에 오거나 사는 백로는 크기가 가장 작은 쇠백로(‘쇠’는 작다는 의미로 붙이는 접두사)부터 중백로, 중대백로, 대백로까지 크기별로 이름이 붙은 백로들과, 번식깃이 화려하고 주황에 가까운 노란색의 부리와 노랑발을 가진 천연기념물이자 국제적 멸종취약종인 노랑부리백로까지 있다.
주인 (탐조인·수의사)
주인 (탐조인·수의사)
집 앞에서 보는 백로는 주로 작은 체구에 귀여운 노랑발을 가졌고 번식기에는 머리 뒤로 두 가닥 번식깃이 늘어진 쇠백로이거나 긴 목에 긴 부리, 화려한 부챗살 같은 번식깃을 가진 중백로였고, 겨울엔 중대백로가 많이 보였다. 번식깃이 화려할 때는 구분하기가 좀 나은데, 겨울에는 중간크기라는 중백로와 조금 크다는 중대백로, 그리고 가장 크다는 대백로를 구분하기가 어렵다. 또 개체마다 차이가 있어 중백로가 중대백로보다 크기도 하고 중대백로가 작기도 하다. 때때로 쟤가 쇠백로가 맞나 싶게 중백로만큼 큰 쇠백로가 보이기도 한다. 나는 노랑노랑한 발을 가져 구분하기도 가장 쉽고 귀엽기도 한 쇠백로를 가장 좋아한다.

재작년 가을인가, 오후 4시쯤 매일 산책하던 개천가 늘 같은 자리에 서 있던 쇠백로에게는 ‘삐백이’라는 이름을 붙여 주었는데, 늘 ‘나 삐졌어’ 하는 자세로 살짝 등을 돌리고 있었기 때문에 삐진 백로에서 한 글자씩 땄다. 삐백이는 쇠백로치고는 골격이 꽤 큰 편이었고 이상하게 그 자리에 가만히 있는 것을 좋아했다. 한번인가는 다른 백로가 가까이 오자 부리로 위협하며 내쫓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다가 날이 너무 추워져서인지 어느 순간부터 삐백이는 그 자리에서 더이상 보이지 않았다.

사랑은 움직이는 것이라더니, 처음에는 볼 때마다 설레고 좋았던 그 아름답고 우아한 백로들은 이제 더이상 나의 마음을 설레게 하지 못한다. 그래도 나를 아름다운 날개 달린 세상으로 초대해 준 하얗고 목 긴 새는 영원한 나의 첫사랑이다.
2021-08-30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