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교육 시스템 경쟁력이 세계 주요국 가운데 2위라는 평가 결과가 나왔다. 대선 후보들이 입시제도 개편을 통해 공교육 정상화를 꾀하겠다는 교육 공약을 제시한 상황에서 나온 평판이어서 주목할 만하다. 영국의 미디어·교육전문 그룹 피어슨이 40개국을 대상으로 조사해 어제 발표한 교육시스템 경쟁력 평가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종합평점 1.23점으로 1.26점의 핀란드 다음으로 높았다. 홍콩(0.90), 일본(0.89), 싱가포르(0.84)가 3~5위를 차지하는 등 아시아 국가들의 강세가 두드러진 것으로 미루어 보면 높은 교육열이 평가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교육 경쟁력이 높다는 평가는 주로 미국에서 나왔다. 재선에 성공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한국 교육 예찬은 잘 알려져 있다.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 2009년 3월 미국 교육 비전을 설명하는 연설에서도 “미국 학생들은 한국 학생들보다 학교에 가는 날이 한달 정도 더 적다.”면서 우리나라의 학구열을 치켜세웠다. 자연자원이 빈약한 우리나라가 경제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었던 것은 인적자원, 즉 교육의 힘이 크게 작용했다는 사실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그만큼 교육은 국가 경쟁력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이번 평가는 고무적이다.
그러나 우리 스스로 수긍할 만한 진정한 교육강국이 되려면 공교육 내실화를 통해 사교육 의존도를 줄여야 한다. 지난 4월과 9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공교육비 민간 부담률이 회원국 가운데 12년째 1위를 유지했다. 사교육비까지 감안하면 가계가 체감하는 교육비 부담은 훨씬 커질 것으로 보인다. 공교육에 대한 투자를 대폭 확대해 학교 수업이 제대로 이뤄지게 하는 일이 시급하다. 대선 주자들은 교사 1인당 학생수 줄이기 등 제대로 된 공교육을 하기 위한 재정 투입 확대 방안을 찾아야 한다. 이번 평가에서 1위를 차지한 핀란드의 예처럼 학습 능력이나 학습 속도가 뒤지는 아이들도 최대한 배려해 학생들 간 차이를 줄이는 데도 힘을 쏟아야 한다. 학교 교육에서부터 협력을 통해 상생하도록 교양을 쌓아야 학교 폭력도 줄어들 수 있을 것이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교육 경쟁력이 높다는 평가는 주로 미국에서 나왔다. 재선에 성공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한국 교육 예찬은 잘 알려져 있다.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 2009년 3월 미국 교육 비전을 설명하는 연설에서도 “미국 학생들은 한국 학생들보다 학교에 가는 날이 한달 정도 더 적다.”면서 우리나라의 학구열을 치켜세웠다. 자연자원이 빈약한 우리나라가 경제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었던 것은 인적자원, 즉 교육의 힘이 크게 작용했다는 사실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그만큼 교육은 국가 경쟁력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이번 평가는 고무적이다.
그러나 우리 스스로 수긍할 만한 진정한 교육강국이 되려면 공교육 내실화를 통해 사교육 의존도를 줄여야 한다. 지난 4월과 9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공교육비 민간 부담률이 회원국 가운데 12년째 1위를 유지했다. 사교육비까지 감안하면 가계가 체감하는 교육비 부담은 훨씬 커질 것으로 보인다. 공교육에 대한 투자를 대폭 확대해 학교 수업이 제대로 이뤄지게 하는 일이 시급하다. 대선 주자들은 교사 1인당 학생수 줄이기 등 제대로 된 공교육을 하기 위한 재정 투입 확대 방안을 찾아야 한다. 이번 평가에서 1위를 차지한 핀란드의 예처럼 학습 능력이나 학습 속도가 뒤지는 아이들도 최대한 배려해 학생들 간 차이를 줄이는 데도 힘을 쏟아야 한다. 학교 교육에서부터 협력을 통해 상생하도록 교양을 쌓아야 학교 폭력도 줄어들 수 있을 것이다.
2012-11-29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