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어제 전당대회를 열어 황우여 대표를 포함한 새 지도부를 선출했다. 당 대표와 최고위원 네 명 가운데 세 명이 친박근혜계 인사로 구성된 것은 현재 새누리당의 세력 구도를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친박계로 뭉친 지도부가 당의 앞날에 도움이 될지, 해가 될지는 앞으로 당을 어떻게 운영해 나가느냐에 달렸다. 새 지도부의 가장 시급한 과제는 이른바 비박근혜계 세력을 어떻게 끌어안느냐는 것이다. 전당대회 여파로 당이 주류인 친박계와 비주류인 비박계로 갈라진다면 5년 전 한나라당이 친이, 친박으로 나뉜 상황을 재현하는 것이다. 그것이 당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는 새누리당 구성원 모두가 잘 알고 있을 것이다. 황 대표가 수락연설에서 쇄신과 함께 화합을 유독 강조한 이유이기도 하다.
새 지도부는 전당대회 이후 이어질 후속 당내 인사에서부터 비주류 인사들을 끌어안는 포용력을 보여 줘야 할 것이다. 친이 세력은 바로 그 부분이 서툴렀고, 그것이 결국 몰락의 중요한 원인 가운데 하나가 됐다고 볼 수 있다. 새누리당의 새 지도부는 대통령 후보 경선을 엄정하게 관리해야 할 책무를 안게 된다. 새누리당에는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이라는 유력한 후보가 있지만, 그 외에도 적지 않은 후보들이 대통령후보 경선에 나섰다. 새 지도부는 모든 경선 후보들이 자유로운 선거운동을 할 수 있도록 최대한 공정하게 지원해야 할 것이다. 이미 경선 후보들 간에는 완전국민경선제와 개헌 등을 놓고 신경전이 오가고 있다. 친박계에서는 두 사안에 대해 일단 비판적인 의견을 내놓고 있다. 박 전 위원장 추대론이 나오는가 하면 대선 때 개헌을 제기하면 안 된다는 주장도 나온다.
그러나 무조건 안 된다는 식의 대응으로는 상대방을 설득할 수 없다. 개헌 문제의 경우 18대 국회에서 각 당이 이미 논의하기로 약속했던 사안이기도 하다. 꼭 지금 공식적인 개헌 논의를 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상대방의 의견을 존중하는 모습을 당 지도부가 보여 줄 필요가 있다. 새누리당의 새 지도부에 대해 많은 국민이 갖고 있는 의구심이 있다. 그것은 새 지도부가 박 전 위원장만을 바라보고 당을 운영할 것이라는 우려다. 그러나 새 지도부가 궁극적으로 바라보고 가야 할 대상은 박 전 위원장이 아니라 국민이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새 지도부는 전당대회 이후 이어질 후속 당내 인사에서부터 비주류 인사들을 끌어안는 포용력을 보여 줘야 할 것이다. 친이 세력은 바로 그 부분이 서툴렀고, 그것이 결국 몰락의 중요한 원인 가운데 하나가 됐다고 볼 수 있다. 새누리당의 새 지도부는 대통령 후보 경선을 엄정하게 관리해야 할 책무를 안게 된다. 새누리당에는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이라는 유력한 후보가 있지만, 그 외에도 적지 않은 후보들이 대통령후보 경선에 나섰다. 새 지도부는 모든 경선 후보들이 자유로운 선거운동을 할 수 있도록 최대한 공정하게 지원해야 할 것이다. 이미 경선 후보들 간에는 완전국민경선제와 개헌 등을 놓고 신경전이 오가고 있다. 친박계에서는 두 사안에 대해 일단 비판적인 의견을 내놓고 있다. 박 전 위원장 추대론이 나오는가 하면 대선 때 개헌을 제기하면 안 된다는 주장도 나온다.
그러나 무조건 안 된다는 식의 대응으로는 상대방을 설득할 수 없다. 개헌 문제의 경우 18대 국회에서 각 당이 이미 논의하기로 약속했던 사안이기도 하다. 꼭 지금 공식적인 개헌 논의를 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상대방의 의견을 존중하는 모습을 당 지도부가 보여 줄 필요가 있다. 새누리당의 새 지도부에 대해 많은 국민이 갖고 있는 의구심이 있다. 그것은 새 지도부가 박 전 위원장만을 바라보고 당을 운영할 것이라는 우려다. 그러나 새 지도부가 궁극적으로 바라보고 가야 할 대상은 박 전 위원장이 아니라 국민이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2012-05-16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