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진보당의 이정희 공동대표가 어제 4·11 총선 비례대표 경선 부정에 대해 사죄하고 책임을 지겠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민심은 싸늘하다. 진보당이 얼마나 위험하고 부도덕한 일을 저질렀는지 제대로 알고나 하는 말인지 그 진정성부터 의심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이 공동대표는 가장 무거운 정치적·도의적 책임을 지겠다면서도 ‘항변’을 잊지 않았다. “어떤 경선 후보자에게 어떤 부정의 경과가 담긴 표가 주어졌는지 백지상태다. 전혀 알지 못한다.”며 “사실을 낱낱이 드러내고 의혹이나 의심에 기초한 추측을 배제한 후 행위 정도에 따라 관련자들이 책임져야 한다.”고 선뜻 이해하기 어려운 주장을 펼쳤다. 조사 과정의 절차적 정당성도 조사 결과도 믿지 못하겠으니 ‘온전한’ 책임은 질 수 없다는 말이 아닌가. 듣도 보도 못한 온갖 수단을 동원한 총체적 선거 부정이 자행됐는데 뼈를 깎는 자성은커녕 현실과 동떨어진 소리를 하고 있으니 공당의 대표로서 가장 기본적인 자질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결론부터 말하면 이 공동대표를 포함한 지도부는 즉각 물러나고 문제의 비례대표 1·2·3번 당선자 또한 당연히 사퇴해야 한다. 그것은 최소한의 조치다. 당 안팎에서는 이 공동대표가 사퇴하더라도 이른바 민족해방(NL)계열 당권파 비례대표 인사들은 자리를 지킬 것이라는 말이 흘러 나온다. 6월 지도부 선출을 앞두고 계파간 권력투쟁이 가열될 상황에서 순순히 물러나기 어렵다는 얘기다. 우리는 진보당이 사실관계 운운하며 비례대표 사퇴 없이 적당히 봉합하고 넘어가려 한다면 국민이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본다. 진보당이 끝내 파벌싸움에 매몰돼 움켜쥔 권력을 내려놓지 않고 부도덕한 ‘잡탕정당’으로 남는다면 그건 진보당의 불행이요 민주주의의 수치다.
이 땅의 진보는 지금 더 잃을 게 없을 정도로 초라한 몰골이다. 더 이상 도덕의 편, 진실의 편임을 내세울 근거를 잃어버린 셈이다. 제3당의 위치에까지 오른 진보당이 정녕 간판을 내릴 작정이 아니라면 스스로 좀 더 정직해져야 한다. 오로지 벌거벗은 패거리 권력을 위해 헌신하는 일부 ‘반(反)진보’ 인사들의 경직된 의식의 틀부터 뜯어고치기 바란다.
결론부터 말하면 이 공동대표를 포함한 지도부는 즉각 물러나고 문제의 비례대표 1·2·3번 당선자 또한 당연히 사퇴해야 한다. 그것은 최소한의 조치다. 당 안팎에서는 이 공동대표가 사퇴하더라도 이른바 민족해방(NL)계열 당권파 비례대표 인사들은 자리를 지킬 것이라는 말이 흘러 나온다. 6월 지도부 선출을 앞두고 계파간 권력투쟁이 가열될 상황에서 순순히 물러나기 어렵다는 얘기다. 우리는 진보당이 사실관계 운운하며 비례대표 사퇴 없이 적당히 봉합하고 넘어가려 한다면 국민이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본다. 진보당이 끝내 파벌싸움에 매몰돼 움켜쥔 권력을 내려놓지 않고 부도덕한 ‘잡탕정당’으로 남는다면 그건 진보당의 불행이요 민주주의의 수치다.
이 땅의 진보는 지금 더 잃을 게 없을 정도로 초라한 몰골이다. 더 이상 도덕의 편, 진실의 편임을 내세울 근거를 잃어버린 셈이다. 제3당의 위치에까지 오른 진보당이 정녕 간판을 내릴 작정이 아니라면 스스로 좀 더 정직해져야 한다. 오로지 벌거벗은 패거리 권력을 위해 헌신하는 일부 ‘반(反)진보’ 인사들의 경직된 의식의 틀부터 뜯어고치기 바란다.
2012-05-04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