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10·26 이후 정치권은 환골탈태해야 한다

[사설] 10·26 이후 정치권은 환골탈태해야 한다

입력 2011-10-27 00:00
업데이트 2011-10-27 01: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0·26 재·보선전의 백미(白眉)로 꼽히는 서울시장 보궐선거전에서 박원순 야권 단일후보가 이겼다. 반(反)한나라당 세력이 총결집하는 형식을 빌렸지만 어쨌든 여당도, 야당도 아닌 무소속 후보로 출발해서 당당히 서울시장에 올랐다. ‘박 시장’의 등장은 작은 시민혁명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만큼 거대한 변화의 바람이다. 기성 정치권에는 불신의 위기라는 경종을 울렸고, 민의를 거스르면 정치의 산실인 정당도 한낱 모래성에 불과하다는 교훈을 주기에 충분했다. 여야를 막론하고 환골탈태하지 않고서는 존립할 수 없음을 뼈저리게 되새겨 국민의 요구와 열망에 부응하는 실천을 내보여야 할 때다.

이번 선거는 한국 정치의 역동성과 불안정성이란 두 얼굴을 적나라하게 드러냈다. 시민단체 출신의 서울시장 탄생은 제3 정치세력의 가능성을 현실로 보여준 동시에 정당정치의 위기를 반영한다. 한나라당은 안철수라는 한 시민으로부터 발원한 바람에 맥없이 무너졌다. 그 바람은 이명박 정부에 대한 총체적 불신을 타고 엄청난 위력을 지닌 태풍으로 확대되더니 한나라당을 삼켰다. 민주당은 존재감마저 상실된 채 박 당선자를 돕는 조역으로 비켜났다. 시민사회세력과 한몸이라고 외쳐댔지만 수권을 꿈꾸는 제1 야당의 모습으로는 옹색할 뿐이었다. 양당 모두가 참담한 패자(敗者)로 남은 셈이다.

정당의 위기는 궁극적으로 정치의 위기다. 나라를 위해서도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시민사회세력 역시 정치 변화의 주역을 꿈꾼다면 정치의 영역으로 당당히 들어가야 한다. 정당은 정치의 중심이고, 정치는 정당을 근간으로 이뤄져야 한다. 박 당선자 역시 정치는 서울시장의 영역이 아님을 일관되게 지켜야 할 것이다. 서울시장이 더 이상 대권의 징검다리가 돼서는 안 된다는 바람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 수도 서울을 책임질 행정가이자 살림꾼으로서 본분을 다해야 한다. 초심을 잃지 말고 약속했던 정책을 내실 있게 실천해야 할 것이다.

여야는 변화의 몸부림을 쳐야 할 상황에 놓였다. 정국엔 격랑이 몰아칠 것이다. 한나라당이 선거 초반 두 자릿수 격차를 그나마 좁힐 수 있었던 것은 박근혜 전 대표의 공이 컸기 때문이다. 내년 총선과 대선에 대비하려면 박 전 대표를 비롯한 유력 대권 주자들을 축으로 새 진용을 짤 수밖에 없음을 말해주는 대목이다. 민주당도 시민사회단체와 힘을 합치기로 했다면 기형적인 연대의 극복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이번 선거에서 분출한 변화의 열망을 희망으로 이어가느냐는 정치권의 몫이다. 여야 모두 새 출발선에 서 있음을 깊이 인식하기 바란다.
2011-10-27 31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