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사설] 국민 50% “시부모·장인· 장모 가족 아니다”

[사설] 국민 50% “시부모·장인· 장모 가족 아니다”

입력 2011-01-26 00:00
업데이트 2011-01-26 01: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가족이 해체되고 있는 것은 알았지만 이 정도일 줄은 몰랐다. 여성가족부가 발표한 ‘제2차 가족실태’를 보면 조사 대상자 둘 중에 한 사람은 배우자의 부모는 가족이 아니라고 답했다. 시부모, 장인·장모는 가족이 아니라고 생각한다는 것이다. 5명 중 1명은 친부모도 가족에서 제외했다. 10명 중 4명은 형제·자매도 가족이 아니라고 했다. 이는 핵가족화가 급속히 진행돼 우리의 가족관이 혈연이 아니라 거주 중심으로 바뀌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제 가족의 범위가 좁아져 같이 살지 않으면 가족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이미 알고 있던 것이기는 하지만 가족의 해체를 확인하는 것은 우리를 슬프게 한다. 5년 전 1차 조사 때는 배우자의 부모는 가족이 아니라고 답한 사람이 10명에 2명꼴이었다고 한다. 격세지감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한편으로 그런 변화는 우리에게 과제를 던져 준다. 그것이 우리 사회에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 전문적이면서 심층적인 연구와 검토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전통가정이 분해된다는 것은 먼저 사회적 연결망이 무너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부모 자식 간 관계가 약해지면 자식은 부모를 돌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정부가 부모 세대를 도와주거나 부모 스스로 노후 책임을 질 수밖에 없다. 이는 세대 간 갈등이 확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눈에 띄는 것만을 예시한다면 고령사회의 복지비용, 재정위기에 처한 국민연금 및 건강보험 부담, 일자리와 조세 부담률 등을 둘러싸고 자식과 부모 세대가 마찰을 빚을 수밖에 없다.

이제 베이비 붐 세대의 은퇴가 본격화되면 핵가족의 분열이 심화돼 1~2인 가구가 더 늘어날 수밖에 없다. 이번 조사에서도 10명 중 7명은 노후에 배우자와 단둘이 지내고 싶다고 답했다. 이는 복지와 의료 등을 둘러싼 갈등이 더 커진다는 것을 뜻한다. 최근 우리 사회에서 무상복지 찬반 논란이 계속되고 있지만 앞으로 더욱 더 확산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정부는 ‘2차 가족실태’가 의미하는 바를 면밀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전통 가족의 복원을 포함해 우리 사회의 갈등을 줄이고 더불어 살 수 있는 세심한 설계 및 처방을 준비해야 할 것이다.
2011-01-26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