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성태윤의 경제 인사이트] 디지털 전환과 소비의 네트워크 효과/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성태윤의 경제 인사이트] 디지털 전환과 소비의 네트워크 효과/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입력 2021-12-26 20:30
업데이트 2021-12-27 01: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흔히 4차 산업혁명으로 불리는 디지털 전환은 기존의 경제활동에서 발생하는 각종 아날로그 현상의 신호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시켜 기록·보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디지털 전환은 정보의 기록과 유통, 공유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대중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정보의 무제한 복제를 가능하게 만들어 디지털화된 특정 정보를 공유하는 네트워크가 쉽게 형성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있다.

예를 들면 디지털 전환 이전의 아날로그 시대에도 사진을 찍어 이를 복사하거나 인쇄해 해당 정보와 내용을 제공할 수는 있었지만, 지금은 사진 정보의 디지털화를 통해 많은 사람이 순식간에 동시다발적으로 접근할 수 있게 됐다.

흔히 4차 산업혁명이라는 용어에 등장하는 ‘산업’이라는 단어 때문에 디지털 전환 개념을 주로 산업생산과 관련된 것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 디지털 전환은 비단 생산양식에만 관련되는 것은 아니고 소비 패턴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다. 디지털로 전환된 정보 자체를 소비하는 측면도 있고, 가격과 품질을 포함해 이러한 정보의 확산은 구매 의사 결정에 영향을 줘 물리적인 소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정보의 확산 측면과 관련해 주목할 수 있는 부분이 ‘소비의 네트워크 효과’다. 소비의 네트워크 효과는 해당 소비로부터 얻는 만족이 이를 소비하는 다른 사람들이 많을수록 커지는 현상인데, 실제로 이러한 효과가 존재한다면 디지털 전환을 통해 정보를 광범위한 네트워크에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성격을 강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흥미로운 연구가 2020년 경제학 저명 학술지인 ‘리뷰 오브 이코노믹 스터디스’에 ‘소비 네트워크 효과’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발표된 바 있다. 1980년부터 1996년에 걸친 덴마크 가계의 세금 자료와 직장의 고용ㆍ피고용인 자료를 결합해 일종의 네트워크를 파악한 후 이러한 네트워크 내에 있는 사람의 소비가 동일 네트워크 내에 있는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했는데, 일종의 ‘동료효과’(peer effect)가 있다는 것이다. 쉽게 설명하면 같은 네트워크 안에 있다고 볼 수 있는 사람들은 해당 네트워크에 있는 동료들이 사용하는 제품을 소비하는 현상이 관찰된다는 것이다.

사실 이러한 가능성은 이미 19세기 미국의 사회·경제학자인 소스타인 베블런이 ‘유한계급론’(有閑階級論)이라는 저술에서 사람들은 다른 이들에게 자신이 보여 주기 위해 소비를 하는 측면이 있다는 일종의 ‘과시 소비’ 개념으로 설명한 바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가격이 높아지면 수요가 감소하지만 이러한 경우는 가격이 높아져도 수요가 증가할 수 있는데, 이러한 수요의 대상이 되는 제품을 그의 이름을 따 ‘베블런 재화’라고 지칭한다. 예를 들어 명품 가방이나 고급 와인과 같이 가격이 계속 올라가도 수요가 오히려 증가하는 재화들이 흔히 베블런 재화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소비 네트워크 효과’ 논문에서는 소비에 그러한 동료효과가 존재할 뿐만 아니라 거시경제적으로 이러한 소비 증가가 다른 동료들의 추가적인 소비를 만들어 내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일종의 추가적인 효과를 만들어 낼 정도로 소비의 네트워크 효과가 상당한 규모가 된다는 것을 심지어는 현재와 같이 정보의 확산이 이루어지던 시점이 아닌 시기의 자료에서도 실증적인 방법론으로 확인됨을 보인 것이다.

코로나19 상황 이전부터 이미 디지털 전환은 시작됐지만 팬데믹 상황이 지속되면서 이러한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는 측면에서 하나의 네트워크 안에서 다른 사람의 소비에 대한 디지털 정보가 쉽게 공유·전파될 수 있는 현재의 환경은 이러한 소비 네트워크 효과가 더욱 강화될 수 있는 경제 환경이라는 뜻이다.

경기 상황이 어려워지면서 흔히 가성비(價性比)로 지칭되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이나 품질 정보상에서 우위가 존재할 수 있는 제품이 각광을 받는 한편 소비의 과시효과가 두드러질 수 있는 재화나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는 것도 이러한 소비 네트워크 효과의 영향이다.

이런 측면에서 다양한 상품의 차별화보다는 고가 제품과 저렴한 상품을 중심으로 한 양극화된 소비 패턴이 나타날 수 있고, 이런 극단적 소비 행태가 박탈감을 조성하는 등 잠재적인 사회경제적 갈등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점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2021-12-27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