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노을다방/박지웅

[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노을다방/박지웅

입력 2016-10-28 17:56
수정 2016-10-28 18: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노을다방/박지웅

다방에 손님이라곤 노을뿐이다

아가씨들이 빠져나가고 섬은 웃음을 팔지 않는다

바다 일 마친 어부들이 섬의 현관 벗어놓은 어선들

다방 글자가 뜯어진 창으로 물결이 유령처럼 드나들었다

노을이 다방에서 나와 버려진 유리병 속으로 들어간다

몸을 가진 노을은 더 아름답다

이 시를 읽고 퇴락한 섬의 쓸쓸한 풍경을 아름답게 그렸다고 말해선 안 된다. 거기는 ‘다방’이 있고 ‘아가씨들’이 있었다. ‘어선에서 내려 물결처럼 드나드는 어부들’에게 ‘웃음을 팔던 그들’의 삶은, ‘다방 글자가 뜯기기’ 전부터 이미 ‘유령’ 같았을 것이다. 저녁 어스름 어딘가에서 그들은 자신의 ‘몸’을 갖지 못한 채 저물고 있었을 것이다. 다방에서 나온 후에야 비로소 ‘유리병’ 같은 몸을 얻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 또한 버려진 것일 뿐. 사람들은 아마도 몰랐을 것이다. 어부들이 손님이 되어 누군가의 웃음을 가져갔던 것처럼 어부들 또한 잔혹한 세상에게 생활을 빼앗기고 있었다는 것을. 착취의 굴레를 당연한 듯 살았다는 것을. 그리고 버려지고 말았다는 것을. 그렇게 모두가 사라져 간 시간을 이 시는 아프게 말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아름다운가? 천만에, 모두가 자신의 몸을 가질 때 아름답다. 우리가 우리 몸의 주인일 때, 차라리 깨져서 뾰족하게 일어설 때, 아름다움은 바다처럼 펼쳐진다.

신용목 시인
2016-10-29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