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데스크 시각] ‘문화 과잉’ 서울에 이건희 기증관이라니/김기중 문화부 차장

[데스크 시각] ‘문화 과잉’ 서울에 이건희 기증관이라니/김기중 문화부 차장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1-11-01 17:44
업데이트 2021-11-02 01: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기중 사회정책부 차장
김기중 사회정책부 차장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에서 열렸던 ‘한국 미술의 어제와 오늘’은 근래 들어 가장 인상 깊은 전시였다. 4개 주제로 문화재와 근현대미술품을 함께 엮어 소개하는 통섭형 전시였는데, 무료임에도 기획과 작품 규모 면에서 아주 뛰어나 주변에 많이 추천했다. 가끔은 회사 앞에서 마을버스를 타고 삼청동에 있는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에 가곤 한다. 거기서 10분 남짓 걸어가면 인사동이 나오는데, 소소한 무료 전시를 얼마든 찾을 수 있다. 용산 국립중앙박물관은 하루에 모두 관람하기 벅찰 정도로 볼거리가 많다. 시와 구에서 여는 각종 전시회, 공연 등도 그야말로 차고 넘친다.

미술관이나 박물관에 잘 가지 않는 서울 사람들에게 물어보라. ‘못’ 가는 것인지, ‘안’ 가는 것인지. 일이 바빠서, 아니면 별로 좋아하지 않아서 ‘안’ 가는 사례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지방 사정은 다르다. 어지간한 전시를 보려면 몇 시간이나 차를 타고 가야 한다. 가고 싶어도 ‘못’ 간다. 서울은 이런 점에서 지방과 비교할 때 문화예술 과잉 도시다.

숫자로 살펴보자. 2017년 기준 서울 지역 미술관은 46곳이었는데, 이후 3년 동안 7곳이나 늘었다. 같은 기간 대구, 대전, 울산, 세종, 충남, 경북은 단 하나도 늘지 않았다. 2020년 기준 서울과 경기 지역 미술관은 모두 99곳으로 전국 267곳 중 비중이 무려 43%에 이른다. 국립박물관은 전국 50곳 중 14곳이 서울에 몰려 있다. 경남ㆍ대구ㆍ충북에는 2000년대 들어 신축된 국립박물관이 없고, 울산ㆍ대전에는 아예 단 한 곳도 없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국가에 기증한 2만 3000여점으로 세울 ‘이건희 기증관’을 서울에 짓겠다고 발표했을 때 걱정했던 이유가 여기에 있다. 황희 문체부 장관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과 확장성을 주된 이유로 들었다. 막대한 기증품을 보존·관리하는 데 박물관과 미술관 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했다. 그러나 지방에 기증관을 두고 일부 기능을 떼어 보낼 수도 있지 않나. 공공기관도 지방으로 이전하는 마당에 미술관이나 박물관 직원이라고 보내지 못할 이유가 없다.

지방 출장을 다니다 집도 상점도 비어 있는 구도심에 들어서면 겁이 더럭 난다. 서울 집값은 고공행진인데, 지방 구도심은 유령 도시 같다. 이런 곳에서 문화예술이 자라나길 바라는 건 콩 심고 팥 나길 기다리는 것과 마찬가지다.

정부는 지난달 14일 광역경제권을 집중 육성하는 ‘메가시티’ 구성안을 발표했다. 광역시를 키워 서울에 버금가는 대도시로 만들겠다는 내용이다. 그럴듯한 명칭을 붙였지만, 실은 그동안 유지했던 국가균형발전에 대한 항복 선언이나 다름없다. 서울을 비롯해 수도권이 비대해진 상황에서 전국을 골고루 발전시키긴 이미 글렀으니, 도시 하나에 인력과 예산을 ‘몰빵’해 보겠다는 심산이다.

이건희 기증관 서울 건립을 두고 문화예술계에선 ‘삼성가가 서울에 짓길 원했다고 했으면 애초에 혼란도 없었을 것’이란 말이 나돈다. 삼성가가 원했더라도 정부가 설득해 ‘서울은 빼고’ 지방에 짓는 게 옳은 방향이었을 터다.

뭐하고 있다가 임기 말년에야 메가시티를 키우겠다고 나선 것인지 문재인 정부의 의도는 알 수 없으나, 마침 좋은 기회가 생겼다. 이건희 기증관 최적 후보지로 꼽았던 서울 송현동 일대를 정부가 무상 사용할 수 없다고 법제처가 법령 해석을 내린 것이다. 이참에 문체부가 이건희 기증관 서울 건립 구상을 백지화하고 메가시티 정책과 접목해 보길 권한다. 지금껏 까먹은 점수, 조금이라도 만회해야 할 것 아닌가.
김기중 문화부 차장 gjkim@seoul.co.kr
2021-11-02 30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