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데스크 시각] 백신 접종, 불효가 돼서는 안 된다/한준규 사회2부장

[데스크 시각] 백신 접종, 불효가 돼서는 안 된다/한준규 사회2부장

한준규 기자
입력 2021-05-24 17:24
업데이트 2021-05-25 00: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한준규 사회2부장
한준규 사회2부장
“건강한 어머니가 지난달 22일쯤 화이자 백신을 맞았는데 삼 일 만에 폐에 혈전이 생겨서 아직도 병원에 있어요. 그런데 정부는 나 몰라라예요. 모든 책임은 고스란히 우리 가족의 몫이에요.”

오래간만에 만난 후배가 코로나19 백신 이야기에 목소리가 높아지기 시작했다. 지난달 중순 경남 하동의 팔순 노모가 “화이자 백신이라 맞는 게 어떨까 생각하는데”라고 물었다. 후배는 “그렇게 하세요. 화이자는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하고, 정부도 책임을 진다고 하니까 맞는 게 나을 듯하네요”라고 했다. 마음 한켠에 백신 이상 반응에 대한 불안감이 있었지만, 정부의 약속을 믿었다.

삼 일쯤 지났을까. 갑자기 밤 12시가 넘어 아버지가 “너희 엄마가 숨을 못 쉰다. 지금 119 타고 경남 진주의 대형병원으로 간다”고 다급하게 알렸다. 후배는 ‘맞지 말라고 만류하는 건데. 나 때문에 건강했던 어머니가 잘못되는 건 아닌지’ 쓰나미처럼 밀려오는 후회와 쏟아져 나오는 눈물에 아찔한 순간을 몇 차례 넘기고 동틀 무렵 진주의 한 대형병원에 도착했다.

어머니는 다행히 위험한 순간을 넘겼다. “도대체 어디가 어떻게 잘못된 겁니까”라는 후배의 물음에 담당 의사는 “뇌에는 이상이 없고, 폐에 혈전에 생기면서 호흡 곤란이 왔습니다”라고 했다. 후배가 “백신 이상 반응 아닙니까”라고 묻자 의사는 “폐의 혈전과 백신의 인과성은 우리도 모릅니다”라고 답했다. “아니 건강하던 어머니가 백신 맞고 삼 일 만에 폐에 혈전이 생겼는데, 인과성이 없다는 게 말이 됩니까”라고 되물었지만, 의사는 “모릅니다. 알 수가 없습니다”라는 말만 되풀이했다.

한 달 동안 수백만원의 병원비와 간병비 등은 고스란히 후배의 몫이었다. 그는 “백신 이상 반응에 대해 1000만원까지 병원비를 지원하겠다고 공언하며 백신 접종을 강요하던 정부는 막상 잘못되자 책임 회피에만 급급하다”고 비판했다. 후배와 같은 상황에 있는 국민이 얼마나 되는지 통계조차 없는 것이 우리 현실이다.

방역 당국은 지난 17일부터 백신과의 인과성이 부족해도 중증 환자에게 1000만원까지 의료비를 지원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국민에게는 그림의 떡이다. 지난 19일까지 백신 이상 반응 신고 사례 2만 3124건 중 인과성이 인정된 사례는 단 2건이며, 인과성이 불충분한데 정부 지원을 받은 사례는 6건에 불과하다.

이것이 60~74세 백신 접종 사전예약률이 53.3%에 머무르고 있는 이유다. 정부의 무책임에 오히려 코로나19에 걸리는 게 더 낫다는 자조 섞인 목소리가 여기저기서 터져 나온다. 하지만 정부는 매일 브리핑에서 “백신은 안전하다. 백신의 손해보다 이득이 수백배 많다. 이상 반응은 정부가 책임지겠다”를 되풀이하고 있다. 백신 이상 반응으로 병원 신세를 지고 있고, 생활의 불편을 겪고 있는 국민이 몇 명인지조차 모르면서 말이다.

백신과의 인과관계를 폭넓게 인정해 생기는 정부의 손실보다 우리가 하루빨리 코로나19에서 벗어나는 게 더 중요하고 시급한 일이란 것은 삼척동자도 다 아는 진실이다. 국민에게는 ‘대를 위해 소를 희생하라’고 강요하면서 정작 청와대와 정부는 대보다 소에 집착하고 있는 셈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8일 어버이날에 ‘백신이 효도’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백신을 권하는 자녀가 불효자가 되는 일이 없도록 철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또 백신 이상 반응을 끝까지 책임지는 자세가 집단면역으로 가는 첫걸음임을 정부가 빨리 깨달았으면 좋겠다.

hihi@seoul.co.kr
2021-05-25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