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세대] 서민에 의한, 서민의 착취/김영준 작가

[2030 세대] 서민에 의한, 서민의 착취/김영준 작가

입력 2019-12-19 17:26
업데이트 2019-12-20 03: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영준 작가
김영준 작가
‘배달의 민족’(배민)이 ‘요기요’의 모회사인 딜리버리히어로에 인수됐단 뉴스가 한동안 사람들 입에 오르내렸다. 많은 사람이 이 인수를 부정적으로 보고 있는 듯하다. 배민이 인수되면서 과점시장이 되고 그로 인해 배달료가 오를 것이라는 시각이 대표적이다. 배민이 시장을 장악하며 배달료가 탄생했고 그 배달료를 올림으로써 소비자를 착취한다는 시각이다.

현재 배민을 이용해 주문하면 배달료는 보통 1000~2000원 정도다. 과연 이런 배달료가 제대로 된 가격이라 할 수 있을까? 물론 과거엔 배달료란 게 없었으니 이게 부당한 가격이라 여길 수도 있다. 하지만 그것이 대체 언제 적 일인가? 애초에 배달이란 서비스는 사람을 고용해 별도로 제공하는 서비스다. 당연하게 누리는 공짜 서비스가 아니다.

최저임금을 살펴보면 그 비용의 상승을 실감 나게 느낄 수 있다. 내년인 2020년의 최저임금은 8590원으로 올해 대비 2.9% 올랐다. 지난 2년 동안 16.4%와 10.9%로 급격하게 올랐기에 일종의 속도 조절이라 할 수 있다. 2.9%로 속도 조절을 해도 3년 동안 32.7%가 올랐으니 결코 낮은 증가율은 아니다. 5년으로 시간을 확장해 보면 최저임금은 53.9%가 올랐다. 최저임금이 이렇게 올랐는데 사람을 쓰는 다른 비용 상승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그게 더 이상한 일이다. 나의 소득은 누군가의 인건비이기 마련이다.

그 점에서 보자면 배달료에 대한 사람들의 불만은 너무하다. 애초부터 공짜가 아닌 서비스를 우리는 과거에 기형적으로 누려 온 것뿐이다. 그리고 그 기형적인 문화는 여전히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다. 인건비가 이렇게 상승하는데도 계속 무료를 요구하고 가격 인상에 분노하는 것은 엄연히 노동에 대한 착취다. 그동안 당연하게 누려 온 서비스에 가격을 매기니 이득을 빼앗긴다고 느꼈기 때문일 수도 있다. 하지만 내가 당연히 누려야 할 서비스가 절대로 아니다.

많은 사람이 자신의 이득을 지키는 데 굉장히 예민하게 반응하며 조금의 손해도 보지 않으려 한다. 물론 사람이라면 누구나 자신의 이득에 예민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지만, 만약 나의 이득이 타인의 희생에 기반해 이뤄지는 것이라면 그것은 내가 당연히 누려야 할 것이 아닌 타인에 대한 착취에 불과할 뿐이다.

안타깝게도 우리는 이러한 방식으로 서로를 착취하고 살았다. 착취가 대기업이 서민에게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착각이다. 실제로는 많은 경우 서민이 서민을 착취한다. 배달료에 분노하는 서민이 바로 그들이다. 어디 배달료뿐일까. 우리가 제대로 된 비용을 치르지 않는 모든 분야가 그렇다.

서비스에 제값을 치르는 문화를 안착시켰다는 점에서 오히려 배민이 우리 사회에 미친 공이 크다. 착취를 해소하고 제값을 치르는 것에 대해 거대자본, 과점기업의 횡포라는 주장이 나오는 걸 보면 우리 사회가 가야 할 길이 아직 멀다는 것을 느낀다.
2019-12-20 29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