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상일의 수학자의 시선] 어떻게 하면 수학을 잘하나요

[엄상일의 수학자의 시선] 어떻게 하면 수학을 잘하나요

입력 2019-11-04 22:34
업데이트 2019-11-05 01: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당신 앞에 수학자가 서 있다면 어떤 말을 건넬 것인가.

“저도 고등학교 때 ‘한 수학’ 했는데 지금은 이렇게 충치나 치료하고 있네요”라고 환자인 필자에게 하소연하던 치과의사가 기억난다. 하지만 십중팔구는 “수학이 제일 싫었다”며 자신이 ‘수포자’(수학포기자)였음을 고백한다. 자녀가 있는 분들은 이런 고백 뒤에 “아이가 어떻게 하면 수학을 잘하게 할 수 있을까요”라는 질문을 잊지 않고 던진다.

안타깝지만 수학자에게도 아이의 수학 교육은 쉽지 않은 과제다. 수학과 교수끼리도 수학 잘하는 자녀가 있으면 부러워하고, 국제수학올림피아드에서 금메달을 받은 학생의 부모가 ‘우리 집에 돌연변이가 생겨서 아이가 수학을 잘하는 것 같다’고 이야기하는 것을 보면 수학 재능이 유전되는 것도 아닌 모양이다.

수학 잘하는 방법에 대한 질문은 수학자도 답하기 참 어렵다. 필자의 경우에는 송구하지만 학창 시절에 딱히 수학을 못했다고 생각해 본 기억이 없으니 대답이 더 어렵다. 그저 개념과 정리들을 논리적으로 깊게 이해하면 된다는 원칙적인 말 말고는 딱히 해 줄 말이 없다.

‘어떻게 수학자가 되었느냐’는 질문에 대한 답은 훨씬 쉬운 것 같다. 필자의 경우 수학을 잘하게 되고, 수학자가 된 비결은 크게 두 가지인 것 같다.

첫 번째는 수학을 잘한다는 착각이다. 유년 시절 사칙연산을 남들보다 조금 더 빠르게 할 수 있던 것뿐인데, 수학을 잘한다고 착각한 것이다. 시골에서 자란 덕분에 ‘우물 안 개구리 식’ 수학 실력을 뽐낼 수 있었고, 이는 수학을 즐기고 목표를 높여 갈 수 있는 원동력이 됐다. 군 단위 경시대회로 시작해 도·전국 단위 경시대회에서도 입상을 했다. 학교 선생님의 가르침도 큰 도움이 됐지만 교육청이나 대한수학회에서 운영한 교육 과정에서 만난 친구들과 교류하며 배우는 것이 많았고 이런 과정 속에서 수학을 더욱 즐기게 됐다.

두 번째는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배운 것이다. 1980년대 말 8비트 컴퓨터가 보급되면서 시골에도 컴퓨터 학원이 들어섰다. 지금이라면 인터넷 사용법이나 워드, 엑셀 등을 배우겠지만 당시 가정용 컴퓨터로는 할 수 있는 게 프로그램 짜는 것밖에 없었다. 오류 없는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생각하는 과정은 오류 없는 수학 증명을 만드는 것과 같아서 수학적 사고력을 높여 줬다. 또 수학적 계산을 직접 컴퓨터로 구현하면서 깨달은 것도 많다. 분수의 사칙연산을 할 수 있는 계산기를 만들던 기억이 난다. 분수의 분자, 분모를 약분해 간단하게 만들려면 최대공약수를 찾아야 하는데, 1부터 시작해 차례로 모든 수를 나눠 가며 최대공약수를 찾다가 어느 날 알게 된 ‘유클리드 호제법 원리’를 적용하니 빠르게 최대공약수를 찾을 수 있어 감탄했었다. 수학의 힘을 발견한 순간이었다.
엄상일 기초과학연구원 수리·계산과학연구단장
엄상일 기초과학연구원 수리·계산과학연구단장
요즘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시대라며 수학 인재 양성이 중요하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 하지만 교육부장관상이 주어지던 수학경시대회는 이미 10여년 전에 폐지됐고, 교육청이 주최하는 지역 단위 대회도 많이 사라졌다. 미래 인재를 발굴하고 양성하는 차원에서 입시와 무관하게 참가자들이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수준의 지역 및 전국 대회가 다시 개최되길 바란다. 희대의 수학자가 탄생하는 그 출발점에 어쩌면 ‘잘한다는 착각’이 있을지도 모를 일이니 말이다.
2019-11-05 29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