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on] 무전공 확대가 대학 살릴까/김지예 사회부 기자

[서울 on] 무전공 확대가 대학 살릴까/김지예 사회부 기자

김지예 기자
김지예 기자
입력 2024-01-25 00:04
업데이트 2024-01-25 12: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전국국공립대학교 인문대학장협의회와 전국사립대학교 인문대학장협의회가 24일 교육부의 무전공 입학생 확대 방침이 기초학문 붕괴를 초래할 것이라며 추진 중단을 촉구하는 입장을 발표했다. 이날 오후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 인문대에서 강창우 서울대 인문대학장 겸 전국국공립대학교 인문대학장 협의회장이 입장문을 읽고 있다. 연합뉴스
전국국공립대학교 인문대학장협의회와 전국사립대학교 인문대학장협의회가 24일 교육부의 무전공 입학생 확대 방침이 기초학문 붕괴를 초래할 것이라며 추진 중단을 촉구하는 입장을 발표했다. 이날 오후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 인문대에서 강창우 서울대 인문대학장 겸 전국국공립대학교 인문대학장 협의회장이 입장문을 읽고 있다. 연합뉴스
“사실 자유전공학부에 체계적인 과정이 있나 하는 생각이 들어요. 그냥 수업이 있는 거지.”

대학들이 무전공 또는 자유전공학부를 만드는 작업에 앞다퉈 나서고 있다. 자유전공학부가 없는 대학은 신설에, 이미 시행 중인 대학들은 증원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 하지만 한 학생의 냉정한 평가를 보면 무전공 입학이 속도전으로 추진할 일인지 의문이다.

학과 구분 없이 입학한 뒤 2학년 때 전공을 정하는 자유전공학부는 법대가 사라진 2009년 이후 본격적으로 생겨났다. 서울대(정원 157명), 연세대(150명) 등 많은 대학이 법대 정원을 활용해 수십 명에서 수백 명 단위의 자유·자율전공학부를 만들었다. 융합교육 시대라는 흐름, 기초 교양교육 강화, 적성과 전공 탐색은 좋은 명분이었다.

그러나 몇 년 뒤 대학들은 자유전공학부를 폐지했다. 학생들의 대규모 휴학, 한정된 커리큘럼, 전공 선택에 남아 있는 장벽이 자유전공학부의 문제로 꼽혔다. 전공 분야 전문성을 높이기에는 시간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2010년대엔 자유전공학부 대신 ‘글로벌○○학부’ 같은 다른 모집 단위가 하나둘 등장했다.

최근 자유전공학부 확대에 불을 붙인 건 교육부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지난해 말 “대학 입학 정원의 30% 정도는 전공 벽을 허물고 입학시킨 후 학생에게 전공 선택권이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주겠다”고 발언했고, 정책 연구를 통해 구체적인 제안도 나왔다.

연구에는 수도권 사립대와 국립대가 2025학년도에 20~25%, 이듬해엔 25~30%를 무전공으로 뽑으면 국고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이 담겼다. 학생수 감소 시대에 수십억원에서 수백억원의 지원을 받을 수 있으니 대학은 따라갈 수밖에 없다.

문제는 준비다. 자유전공학부는 취지와 달리 이미 ‘인기 학과’ 진입을 위한 수단이 됐다. 학생들은 경영·경제학과나 컴퓨터공학과 같은 일부 학과로 몰리고 있다. 자유전공학부의 정원을 늘리면 이런 쏠림은 심화되고 교육의 질도 떨어질 수밖에 없다.

교수 충원을 포함한 기본적인 인프라와 체계적인 교육과정이 필요한 이유다. 학과 쏠림으로 인한 기초학문, ‘비인기학과’ 소멸 위기도 대비해야 한다. 기초학문의 중요성도 중요성이지만 이 전공들이 사라지면 학생들의 선택권도 침해된다.

대학 서열화가 심해진다는 우려도 있다. 수도권 대학의 자유전공학부 정원이 수백 명씩 늘어 모집 규모가 커지면 수험생은 상위권 대학으로 더 몰릴 수 있다. 대학 간판을 보고 원서를 넣는 경향이 강해지고 중상위권 수험생들도 상향 지원하면 비수도권 대학은 학생 모집에 더 큰 어려움을 겪는다. “지방대를 키우겠다”던 현 정부 정책과도 상충한다.

교육부는 올해 업무계획에서 무전공 입학을 25%까지 유도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짧은 기간 내에 과거의 실패를 반복하지 않고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을까. 또 대학은 충분한 준비를 할 수 있을까.
김지예 사회부 기자
2024-01-25 2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