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옴부즈맨 칼럼] 세대 차이와 갈등 치유의 길/나은영 서강대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옴부즈맨 칼럼] 세대 차이와 갈등 치유의 길/나은영 서강대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입력 2013-01-09 00:00
업데이트 2013-01-0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12년을 뜨겁게 달궜던 선거도 끝나고 새해가 밝았다. 분열을 넘어 통합으로 나아가야 할 과제가 우리 앞에 놓여 있다. 무엇보다 이번 대선에서 단적으로 드러난 세대 갈등을 어떻게 치유해야 할지 생각해 본다.

이미지 확대
나은영 서강대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나은영 서강대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서울신문 12월 26일 자 ‘한국사회 2030 vs 5060 양분화’ 기사는 세대 갈등의 단면을 잘 보여 주지만, 사실확인이 안 된 추측성 표현이 있다. 예컨대, ‘가난한 2030세대와 돈, 권력, 지위를 가진 5060세대’란 말에는 직장에서 쫓겨나 자영업을 시도하다 실패한 5060세대의 상황이 반영되어 있지 않다.

또한 ‘젊은 층은 일자리가 없고…50대는 대부분이 안정적인 경제력과 사회적 지위를’에서도 ‘대부분이 안정적’이란 말의 근거가 없다. 사실확인을 거치지 않으면 편견이 담긴다. 빈곤층 노인 비율과 자살률을 청년층의 것과 정확히 비교한 자료를 제시했다면 더 좋았을 것이다. 치매 등 질병으로 자식에게 부담을 주지 않으려고 자살하는 노인도 있고, 수입 없는 독거노인이 극심한 생활고로 유명을 달리하기도 한다.

이번 대선에서 2030세대는 현실이 불만스러워 이를 바꾸려고 투표했고, 5060세대는 국가 정체성의 위기를 걱정하며 불안감에 투표장에 나왔다. 젊은 층은 ‘달라지면 좋겠다’는 열망은 강했지만 어떻게 달라져야 할지에 대한 성찰이 부족했다. 반면, ‘달라지더라도 그런 방향으론 안 된다’는 마음이 50대의 90%를 투표장으로 이끌었다. ‘말’에 능한 SNS 신세대를 기성세대가 묵묵히 투표라는 ‘행동’으로 보여준 것이다.

신세대의 투표도 개념 있는 행동인 만큼 기성세대의 투표도 개념 있는 행동이다. 본인 생각에 동의하는 사람들만 개념 있는 사람들로 분류하고 그러지 않는 사람은 개념 없는 사람으로 치부해 버리는 것이야말로 통합보다 분열을 가져오는, 개념 없는 행위다. 이제 이분법에서 벗어날 때가 됐다.

모든 소통이 그렇듯 신구 세대 간의 갈등 치유도 서로의 장점을 잘 아는 데서 출발해야 한다. 신세대의 장점은 솔직함과 순발력, 기성세대의 장점은 인내심과 배려라고 할 수 있다. 신세대는 그래서 ‘지하철 노인 무임승차 반대’를 거리낌없이 주장하지만 기성세대는 그냥 참는다. 동전의 양면처럼 이 장점들은 상대의 단점에 해당한다. 기성세대는 참고 배려하느라 솔직함과는 거리가 있는 이중성을 지닌다. 반면 신세대는 시원스럽게 표현하지만 눈앞의 성과가 보이지 않을 때 고통을 참아내며 극복하는 데 약하다.

세대는 함께 살아가는 것이다. 경쟁관계가 아니라 상호보완관계다. 단절적 관계가 아니라 연속적 관계다. 옛날 수메르인도 세대차를 걱정했듯이 세대차는 우리나라, 현 시대만의 문제는 아니다. 다만 한국사회의 변화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그 격차가 크다는 것이 해결을 어렵게 하지만, 불치병에 걸린 것처럼 호들갑을 떨 일도 아니다.

22년 전 ‘단지 그대가 여자라는 이유만으로’란 영화가 있었다. 지난 30년간 한국인의 가치관변화 연구를 보면 남녀차는 줄고 세대차는 커졌다. ‘단지…라는 이유만으로’ 차별하는 것은 이제 그만둘 때가 됐다. ‘모두 각자의 상황에서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믿음을 갖기만 해도 상대에게 너그러워질 수 있다. 무엇보다 ‘나만 옳다’는 생각을 버릴 필요가 있다. ‘나도 틀릴 수 있다, 상대가 옳을지도 모른다’는 겸허한 마음이 소통과 통합의 시작이다.

2013-01-09 30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