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옴부즈맨 칼럼] 기사의 새로움과 신속성, 또 다른 기대/성민정 중앙대 광고홍보학과 교수

[옴부즈맨 칼럼] 기사의 새로움과 신속성, 또 다른 기대/성민정 중앙대 광고홍보학과 교수

입력 2012-01-11 00:00
업데이트 2012-01-11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문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새로운 소식(news)을 전하는 데 있다. 그런 면에서 사실 독자에게 사회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일들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하는 것은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그러나 최근 매체 다각화와 기술의 발달로 말미암아 새로운 소식을 빠르고 쉽게 접할 수 있는 경로가 급증하면서 신문의 신속성은 그다지 미덕으로 여겨지지 않는 시대가 도래했다. 물론 그렇다고 1960년대 미국의 뉴저널리즘처럼 전통적인 저널리즘의 객관성과 속보, 간결성을 버리고 취재자의 주관과 해석으로 가득 찬 심층적이고 해설적인 보도를 지향하자는 것은 아니다.

이미지 확대
성민정 중앙대 광고홍보학과 교수
성민정 중앙대 광고홍보학과 교수
여전히 독자들은 신문을 통해 새로운 소식을 원한다. 그렇지만, 손가락질 몇 번의 클릭이면 각종 신문의 기사뿐만 아니라 트위터, 블로그 등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현장 시민의 목격담까지 실시간으로 접할 수 있는 이 시대에 독자들이 신문에 기대하는 ‘새로움’과 ‘소식’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지는 않을까? 다시 말해, 단순한 사실 이상의 새로움을 내포한 정보 그리고 표면적인 사실 이외에 그 현상과 상황에 대해 독자가 궁금해하는 “왜”에 대한 답을 줄 수 있는 깊이 있는 콘텐츠가 필요할 것이다. 인터넷 포털에 넘쳐나는 뉴스와 24시간 돌아가는 방송 뉴스 속에서 신문을 펼쳐들면 심층 기사에 더 눈이 가는 것은 어쩔 수 없다.

그런 면에서 1월 2일 자 신년 첫 호는 다양한 여론 조사 결과 및 각종 인터뷰를 포함해 여러 가지 새로운 읽을거리를 제시했다. 특히 설문조사 결과 분석을 토대로 한 8, 9면의 ‘2012’ 특집 기사와 12, 13면의 ‘사회갈등 현황과 해법’은 새해 우리 사회의 화두를 뽑아내고자 하는 시도가 돋보인 기사들이었다. 그러나 지면 분량이나 주제, 헤드라인에 비해 처음 독자로서 기대했던 깊이나 정교함 면에서는 조금 더 들어갈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도 든다. 특히나 육하원칙의 각 항목 가운데 유독 ‘왜’에 대해서는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느낌이 든다.

가령, 설문조사 결과에 대한 보고서 내용을 요약하는 것 이외에 관련된 내용이나 상황, 실제 사례에 대한 추가 취재가 이루어졌더라면 더 많은 공감대를 이룰 수 있었을 것이다. 지면의 제약을 고려하더라도, 조사 기관의 결과 요약 보고서를 그대로 옮기는 듯한 수치적 보도에서 나아가 그 원인에 대한 심도 있는 보도가 함께 이루어졌더라면 훨씬 더 효과적인 문제 제기가 가능했으리라 본다. 또한,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다양한 사회갈등 사례를 열거하는 데서 끝나지 않고 조금은 더 체계적으로 갈등을 유형화하거나 분류하고 전문가 제언을 제시하면서, 학과를 기준으로 하기보다는 갈등 유형이나 주제별로 해당 분야 연구자들의 제언을 제시하는 것이 독자 입장에서는 문제와 해법을 더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방향이었을 것이다. 해외의 사회갈등 해소 구조에 대해서도 단편적인 사례 나열이 주로 이루어지다 보니, 자칫하면 구색을 갖추기 위한 기사로 비칠 수 있다.

그에 반해 1월 7일 자 ‘커버스토리: 농민도 소비자도 牛는 현실… 해법 없나’와 같은 날 6면의 신응수 대목장 인터뷰는 하루 전에 게재되었던 팩트 중심의 기사를 읽었던 독자로서 가졌던 수많은 궁금증을 없애준, 신속하고도 깊이 있는 보도였다. 소비자 관점에서 식당이나 마트의 한우 가격은 여전히 비싼데도 불구하고 농민들은 애써 키우던 소를 굶겨 죽일 정도라는 기사를 접한 후 도대체 그 문제가 무엇인지, 남대문 재건축 과정에서 왜 인건비 이슈가 발생했는지 궁금할 따름이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신속한 보도를 위해 잠시 미루었던 정보의 깊이를 하루 이틀 내에 보완함으로써 독자는 단순히 소식을 얻는 데에서 나아가 깊이 있는 정보를 습득하고, 그 하나의 기사만으로도 사회 현상에 대한 심층적 이해가 가능해진다. 오늘날 부유하는 단편적 정보가 채워줄 수 없는 전문성과 콘텐츠의 깊이, 그것이 바로 독자가 신문에서 찾는 것이 아닐까.

2012-01-11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