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지금&여기] 진화는 ‘진보’가 아니라 ‘다양성’의 증가다/이성원 사회부 기자

[지금&여기] 진화는 ‘진보’가 아니라 ‘다양성’의 증가다/이성원 사회부 기자

입력 2014-01-11 00:00
업데이트 2014-01-1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진화는 ‘진보’가 아니라 ‘다양성’의 증가다.”

이성원 사회부 기자
이성원 사회부 기자
하버드대 진화생물학자인 스티븐 J 굴드가 저서 ‘풀하우스’를 통해 전하는 메시지다. 간단히 설명하면 이렇다. 굴드는 인간을 정점으로 생명체가 진화했다는 시각을 거부한다. 생명체 역사의 주인공에 인간 대신 박테리아를 선택했다. 박테리아는 생명체가 지구에 나타날 때부터 지금까지 다양한 종들로 채워졌으며 인류가 멸망하더라도 꾸준히 지구에 존재할 거라는 이유에서다. 이런 관점에서 보자면 진화는 인간으로 향하는 진보가 아니라 다양성의 증가인 셈이다.

물론 굴드의 관점이 옳은 것이냐 하는 논란이 있는 건 사실이다. 그럼에도 굴드의 진화론 얘기를 꺼낸 이유는 그의 메시지가 우리 사회에 던지는 화두가 분명하기 때문이다. 닫힌 세계보단 열린 세계가 우리 사회를 더 풍요롭게 한다는 사실 말이다.

이화여대는 지난해 말 이사회를 열고 총장 자격을 여성으로 제한한다는 규정을 없앴다. 금기를 깬 건 이화학당이 설립된 지 128년 만이다. 아울러 교수·동문 등으로 구성된 총장후보추천위원회 인원을 지난번 14대 총장 선출 당시 25인에서 35인으로 10명 늘렸다. 다양한 사람의 의견을 모으기 위한 취지에서다. 이 가운데 교수대표위원이 14인에서 22인으로 대폭 확대됐고 직원과 동창대표도 각각 2인에서 3인으로 늘었다. 비정년트랙(비정규직) 교원 등도 투표권을 얻게 됐다.

분명한 것은 이대가 총장 선임에 있어 다양성을 추구했다는 점이다. 취재하다 만난 한 이대 학생은 이 대학의 폐쇄성에 대해 언급한 적이 있다. 총장 선임에 있어 교수나 동문의 의견은 반영되지 않고 이사회만의 선택으로 총장이 결정되는 구조는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물론 아직까지 최종 후보 3인을 이사회 단독으로 결정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굴드의 진화적 시각에 따르면 이화여대는 예전보다 조금은 진화한 것이 사실인 것 같다.

이화여대가 갖는 상징성은 상당하다. 입시 점수가 여대 중 가장 높기 때문은 아닐 것이다. 남성들이 헤게모니를 장악한 우리 사회에서 여성운동의 구심점 역할을 해온데다 민주화와 경제발전의 주역들을 배출한 ‘명문’이기 때문이다. 이사회 규정 개정을 계기로 이화여대의 다양성이 더 늘어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

lsw1469@seoul.co.kr
2014-01-11 2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