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로의 아침] 과학의 어법/심재억 전문기자

[세종로의 아침] 과학의 어법/심재억 전문기자

입력 2013-12-12 00:00
업데이트 2013-12-1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심재억 전문기자
심재억 전문기자
과학의 본질은 정체하지 않는 데 있다. 정체하지 않을 뿐 아니라 정체하는 모든 것을 부정한다. 따라서 정체하는 모든 속성은 비과학적이라고 간주해도 틀리지 않다. 이처럼 과학의 본질이 끊임없는 변화에 있지만 불행하게도 과학은 스스로 말할 수 없다는 취약성도 함께 갖고 있다.

과학적 역량의 확장은 인류가 공유한 절박한 과제다. 우리의 문명이 과학만이 해결할 수 있는 난제를 끊임없이 만들어 내는 탓에 잘살든, 못살든 모든 나라가 도리없이 이런 방향성을 공유하기에 이르렀다. 우리도 예외가 아니다. 새 정부가 출범하면서 전 정부가 ‘큰 교육’에 걸쳐 놓은 ‘작은 과학’을 ‘미래창조과학부’라는 새 틀로 자리 매겨 놓았다. 정체하지 않는 과학을 정체의 틀 속에서 꺼낸 것만으로도 의미 있는 일이었다. 이후 미래부에는 ‘거대 부처’라는 시샘 섞인 꼬리표가 붙었지만 이런 시선이 ‘과학에 역동성을 부여했다’는 전향적 평가에 묻힌 것도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그렇다면 ‘이제 우리 과학이 정체성을 극복할 준비가 돼 있는가’라는 의문에 과학이 답할 차례다. 안타깝게도 이 국면에서 우리는 말이 궁하다. 새로운 부처가 생기고 새로운 정책이 선보였지만 이런 일련의 과학정책을 ‘과학 밖의 시선’으로 재단한 결과이기 때문이다. 다른 물성과 마찬가지로 과학 역시 본성이 다면체적이어서 얼마든지 정치적 함의를 부여하거나 생산성만을 겨냥하는 경제적 해석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런 가치 부여는 결코 과학의 시각이 아니다. 과학의 어법은 따로 있다.

과학은 창조적이어서 가능성이 무한하다. 따라서 과학으로 시장이 만들어지고, 시장의 욕구가 충족되며, 그래서 정치와 경제를 가능하게 한다는 판단 자체가 틀린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런 즉물적 판단은 과학의 어법에 어긋난다. 왜냐하면 시장을 만들고 시장의 수요를 충족하며 경제 원리를 지탱할 의사가 애당초 과학에는 없기 때문이다. 과학은 과학으로서만 존재한다. 치열한 과학적 탐구와 모색에서 수많은 성과가 산출되지만 그 결과물을 정치적으로 윤색하고, 상품으로 만드는 것은 과학 밖의 일일 뿐이다. 따라서 과학에 과학이 아닌 것을 요구하는 ‘어법’의 교정이야말로 과학에 역동성을 부여하는 가장 절박한 과제임은 자명하다.

혹자는 소련과의 체제경쟁으로 촉발된 미국의 우주정책이 어떻게 과학만의 문제냐고 반문할지 모른다. 그러나 아폴로나 디스커버리호, 보이저호를 만든 것은 과학이고, 그것을 가능하게 한 것은 정치라고 분명히 선을 그으면 되는 문제다. 과학은 본질적으로 체제를 모를 뿐더러 관심도 없다.

오늘날 우리가 목도하는 과학의 모든 문제, 이를테면 원전의 가동 중단이나 부실한 기초과학의 토대 역시 과학의 어법에 서툴러서 야기됐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과학의 어법을 이해하지 못해 과학을 과학이 아닌 것에 예속시켜 온 것이다. 이런 불행을 안다면 이제는 과학이 가능한 조건을 만들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정치도, 경제도 아닌 과학의 어법을 익혀야 한다. 왜 그러냐 하면 과학은 우리의 운명이고 삶이기 때문이다.

jeshim@seoul.co.kr

2013-12-12 30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