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행복한 엄마의 ‘희망’/하일선 독일 쾰른대 교육철학박사

[기고] 행복한 엄마의 ‘희망’/하일선 독일 쾰른대 교육철학박사

입력 2012-12-26 00:00
업데이트 2012-12-2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하일선 독일 쾰른대 교육철학박사
하일선 독일 쾰른대 교육철학박사
예전 독일에서 유학생활 중에 TV 프로그램 ‘동물의 세계’를 좋아한다는 사람들을 만난 적이 있다. 프로그램과 더불어 ‘동물의 세계’ 자체에 대한 그들의 예찬을 들으면서 내가 느낀 것은 외로움이었다.

“내가 만약 동물로 태어났더라면 단 하루도 살아내지 못했을 거야.” 이런 외딴 상상을 하고 있었던 나는 공격성과 방어능력이 거의 결핍된 채로 태어난 이유로 사실 그때까지 ‘동물의 세계’와 같은 종류의 프로그램을 애써 피하고 있었다.

오랜 유학생활을 마치고 지금 나는 한국에 돌아와 살고 있다. 나의 친구와 지인에게는 유학에서 돌아와 우리 한국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다시 독일로 돌아간 친구, 후배들이 있다고 한다.

다정한 친구의 따뜻한 염려 덕분인지 무한경쟁, 약육강식의 정글에서 나는 벌써 5년이란 세월 동안을 생존에 성공하고 있다.

단 하루도 버티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했던 나는 치이고 받히고 하면서도 여전히 살고 있다. 무엇이 나를 살게 했을까? 한 해가 가고 다른 한 해가 시작되는 요즈음 내가 나에게 답해야 할 물음이다.

1960년대 베이비붐 시대에 태어난 나는 1980년대 여대생으로 자라기까지 우리 한국사회에 인간임에도 인간이 될 수 없는 자들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들은 ‘약자’들이었다.

정치적, 경제적, 인종적, 사회적, 성적, 육체적 약자들. 그리고 ‘억울함’이라는 눈물을 삼키면서 나는 바로 내가 그 ‘약자’ 중 하나임을 인식하게 되었다.

게다가 성격적 약자이기도 해서일까? 나는 그 당시 그리도 억울한 것이 많았고, 그래서 어린 마음에 살기 위해서 “억울하다.” 이 말을 내 사전에서 아예 지워 버리기로 작정을 했었다.

어떤 일을 당해도 억울할 것이 없어진 것, 이것이 동물이기에도 형편없이 약자인 내가 아직 인간 정글에서 살아 있을 수 있는 이유가 된 것이 아닌가 싶다.

그러나 내가 살아 있는 이유를 나는 무엇보다 내가 다름 아닌 ‘엄마’이기 때문이라고 확신한다.

행복한 학자도, 행복한 여자도, 행복한 인간도, 행복한 아내도 아직은 아니지만 나는 행복한 엄마이다. 그래서 나머지 행복도 꿈을 꾼다.

그리고 행복한 엄마로서 이제 내 사전에서 사라진 “억울하다.”가 내 딸을 위해, 우리의 아이들을 위해 우리 사회에서도 사라지는 꿈을 꾼다.

정치적, 경제적, 인종적, 사회적, 성적, 육체적, 성격적 약자라서 박탈당한 인간으로의 권위를 되찾는 꿈을 꾼다. 내가 살 수 있는 이유는 행복한 엄마이기 때문이고 그리고 내가 살아야 하는 이유는 바로 이 희망 때문이다.

‘개똥밭에 굴러도 이승이 낫다’라는 말이 있다. “그건 개똥밭을 탈출할 수 있는 희망이라도 있을 때지.”라고 개똥밭에 구르는 사람은 말할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개똥밭에 구르고 있는 사람에게 흔히 “희망을 버리지 마.”라고 위로를 한다.

그러나 희망이 한 개인의 낙천적 혹은 긍정적 성격에만 존재하는 것이라면 그것이 과연 희망적일까? 희망은 정의로운 국가의 법에, 공동체적인 사회에, 동료애와 우정이 숨을 쉬는 직장과 학교에 터를 잡고 있어야 한다. 그것이 희망이다.

2012-12-26 30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