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동전/임태순 논설위원

[씨줄날줄] 동전/임태순 논설위원

입력 2012-05-25 00:00
업데이트 2012-05-2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할아버지 쌈짓돈’ 하면 손자에 대한 사랑과 애정, 정성이 연상된다. 필요한 데 쓰지 않고 한푼 두푼 모은 것이기 때문이다. ‘동전 한닢’은 아주 적은 돈을 가리킬 때 쓰인다. 돈에도 인간의 심리가 깊이 투영돼 있다. 아버지, 어머니가 고생 고생해서 번 돈은 왠지 허투루 손이 가지 않는다. 부모님의 땀과 눈물이 서려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길거리를 가다 주운 돈이나 철 지난 양복에서 발견된 비자금은 흐지부지 없어지는 게 일반적이다. 이러한 현상을 심리적 회계(mental accountings)라고 한다. 돈의 출처나 보관장소, 돈에 붙여진 이름에 따라 돈을 사용하는 행동 패턴이 달라지는 것을 말한다.

우선 고액권은 잘 깨지 않으려는 심리가 있다. 100만원짜리 수표 한 장과 10만원짜리 수표 10장이 있으면 액수가 작은 10만원 수표를 먼저 쓰게 된다. 반면 100만원 수표는 뭔가 중요한 데 써야 한다는 생각에 선뜻 손이 가지 않는다. 물론 100만원 수표도 한번 허물어지면 지출 속도는 빨라진다. 이에 반해 공돈이나 푼돈은 헤프다. 공돈은 왠지 횡재했다는 느낌이 들고, 푼돈은 액수가 크지 않다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미국 하버드대학의 존 구어빌 교수가 재미난 실험을 했다. 하루 85센트씩 1년간 기부를 하겠느냐, 아니면 1년에 300달러를 내겠느냐고 물어보니 52%가 하루 85센트에 손을 들었으며, 300달러를 한꺼번에 내겠다는 사람은 30%에 불과했다. 하루 85센트씩 1년 기부해도 똑같이 300달러가 되는데도 이 같은 결과가 나온 것은 소소한 지출에 부담을 덜 느끼기 때문이다. 적립해둔 카드 포인트 점수나 마일리지로 선심을 쓰는 것도 공돈 심리가 작용하기 때문이다.

청계천에 마련된 ‘행운의 동전’이 1억원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고 한다. 2005년 10월 27일 개장한 이래 지난 3월까지 시민들이 던진 동전 7527만원과 외국 동전 3만 7800여개를 합하면 8000여만원에 이르러 오는 8월이면 1억원이 될 것이라고 한다. 물론 이 돈은 불우이웃돕기에 기부된다. 행운을 비는 마음과 소소한 돈에 관대한 푼돈 심리가 작용해 거금이 모인 것이다. 이탈리아 로마의 트레비분수도 동전던지기로 유명하다. 하지만 트레비분수는 동전을 한번 던지면 로마를 다시 찾게 되고, 두번 던지면 원하는 사랑을 이루고, 세번 던지면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진다는 전설로 재미를 더해준다. 청계천 행운의 동전도 멋진 스토리텔링을 입히면 1억원 모으는 속도도 빨라지고 신비감도 더해지지 않을까.

임태순 논설위원 stslim@seoul.co.kr

2012-05-25 31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