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지금&여기] ‘젊음’과 ‘늙음’을 보는 씁쓸한 시선/김정은 문화부 기자

[지금&여기] ‘젊음’과 ‘늙음’을 보는 씁쓸한 시선/김정은 문화부 기자

입력 2012-05-05 00:00
업데이트 2012-05-05 0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정은 사회부 기자
김정은 사회부 기자
얼마 전 연극 ‘헤다 가블러’로 13년 만에 무대로 돌아온 배우 이혜영을 만났다. 한국 나이로 50세인 그는 “옛날처럼 멜로 연기를 하고 싶은데, 들어오는 작품마다 엄마 역할밖에 없다. 더 이상 할 엄마도 없다.”며 씁쓸하게 웃었다. 그가 연극판에 복귀하게 된 데에는 50대 여배우임에도 20대의 당찬 ‘헤다 가블러’ 역을 제안받은 게 주효했단다.

듣고 보니 그렇다. 연극, 영화 등에서 40~50대 여배우가 주인공인 사랑 이야기를 접한 기억이 가물가물하다. 사랑을 받거나 리드하는 여자의 몫은 젊은 20대 여배우에게 돌아갔다. 은연중에 ‘사랑은 20대 젊은 여성이 해야 아름답다.’는 의식에 젖어 있던 건 아닌가 싶다. 사랑할 수 있는 나이를 만 30세이하로 제한한 곳은 전 세계 어디에도 없는데 말이다. 좌충우돌 20대를 보내고, 어중간한 30대를 거쳐, 40~50대 들어서야 비로소 사람 사는 이야기를 연기하고 싶어졌지만, 정작 자신이 설 자리가 좁아진 환경과 마주해야 했다는 한 여배우의 고백이 잔잔하면서도 슬펐다.

지난 주말, 영화 ‘은교’에서 70대 노인의 애잔한 사랑을 맛봤다. 먼발치에서 여고생을 지켜보는 70대 노인 ‘이적요’의 사랑을 두고 파렴치한 중범죄인 양 대하는 30대 남자 서지우를 보며 묘한 감정을 느꼈다. 어른답게 품위를 지켜달라는 무언의 압박 이면에 ‘70대 노인이 어디서 감히….’라는 젊은이의 오만한 시선이 느껴졌기 때문이다. “너의 젊음이 너의 노력으로 얻은 것이 아니듯, 나의 늙음도 내 잘못으로 얻은 벌이 아니다.”라는 이적요의 대사가 더욱 마음에 와 닿은 것도 이 때문이다. 아차, 그러고 보니 ‘이적요’ 역 또한 35세 배우 박해일의 몫이었다.

어디 문화계만 그럴까. 우리네 사는 모습도 별반 다를 게 없다. ‘젊음’과 ‘늙음’의 잣대로 누군가는 오만하고, 누군가는 움츠린다. 누구나 거쳤고, 누구나 거칠 ‘젊음’과 ‘늙음’인데 말이다. 새삼, 사람들의 눈 속에 자리잡은 단단한 시선들이 무섭다는 생각이 든다.

kimje@seoul.co.kr

2012-05-05 26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