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미경 국제부 차장
그래도 전 세계적으로 발생 가능한 핵테러의 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정상회의를 우리나라가 개최한 것에 적지 않은 의미를 부여하고자 했다. 그러나 이마저 북한의 ‘광명성 3호’ 발사 계획 발표로 빛이 바랬다. 북핵 문제는 이번 회의의 공식 의제가 아니라며 거리를 뒀던 정부는 회의 개최를 계기로 40여 차례의 정상·총리·외교장관 회담을 통해 북한의 위성 발사를 비난하고 국제사회의 지지를 호소했다. 양자회담을 통해 북한에 경고 메시지를 던지는 데는 성공했지만, 핵안보정상회의가 ‘광명성 3호 규탄 정상회의’가 돼버린 듯한 모양새였다.
27일 오후 회의 폐막 후 채택된 정상 선언문인 ‘서울 코뮈니케’와 각국별로 발표한 공약도 당초 기대에 미치지 못해 2010년 1차 워싱턴 회의와 2014년 네덜란드 헤이그 회의의 ‘징검다리’ 역할에 그쳤다는 지적도 있다. 수백억원의 예산을 들여 정상회의를 치렀지만 회의 개최 의미가 퇴색할 수 있다는 우려도 이에 기인한다.
회의 결과뿐 아니라 준비 과정도 많은 문제점을 노출했다. 회의장 주변 봉쇄로 셔틀버스가 운영됐지만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고, 현장 안내도 부실해 출근길 대혼잡을 야기했다. 셔틀버스 등에서 만난 시민들은 입을 모아 “핵안보정상회의가 도대체 무엇인데 이런 불편을 감수해야 하느냐.”며 정부를 원망했다. 아시아에서 가장 많은 국제회의를 개최한다는 서울이 시민들의 지지를 받으려면 더욱 신경 써야 하는 부분이 아닐까 싶다.
chaplin7@seoul.co.kr
2012-03-29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