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북한 어부/최광숙 논설위원

[씨줄날줄] 북한 어부/최광숙 논설위원

입력 2012-01-30 00:00
업데이트 2012-01-30 0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엽편주(一葉片舟)를 만경파에 띄어두고/ 인세(人世)를 다 니젝거니 날 가난 줄를 알랴.” 조선 중종 때의 문신인 이현보(李賢輔)의 어부가(漁父歌) 가운데 한 대목이다. 작은 쪽배를 바다에 띄워 두고 인간 세사를 잊고, 세월 가는 줄 모르니 어부의 생활이 최고라는 내용이다. 고려의 작가 미상의 글을 개작한 것으로 훗날 고산 윤선도(尹善道)의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에 영향을 준 작품이다. 자연을 벗하며 고기를 잡는 선조들의 풍류적인 생활이 잘 그려져 있다.

어부들의 생활은 이렇듯 곧잘 문학 작품의 소재가 되곤 한다. 미국 소설가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대표작 ‘노인과 바다’는 84일간 물고기를 한 마리도 잡지 못했던 늙은 어부 산티아고를 주인공으로 하고 있다. 85일째 되는 날 노인이 홀로 먼바다로 떠나서 만난 큰 고기와 치열한 사투를 벌이는 이 소설은 헤밍웨이에게 1953년 퓰리처상, 1954년 노벨 문학상의 영예를 안겼다.

사실 어부들의 실제 삶은 전자보다 후자에 가깝다. 생존을 위해 망망대해에서 날씨와 고기를 상대로 거친 도전을 하는 것이 어부들이다. 험한 일이기에 예전에 어부를 ‘뱃사람’으로 낮춰 부르기도 했다. 특히 6·25 전쟁의 비극과 상흔은 아직도 곳곳에 남아 있지만 유난히 어부들이 겪은 고통은 남다르다.

6·25 전쟁 이후 납북된 3835명 가운데 아직 517명이 귀환하지 못했다고 한다. 이들 중 458명(88.6%)이 어부다. 대부분 1960~70년대 동·서해 접경수역에서 조업 중 피랍됐다. 운 좋게 북에 피랍됐다가 귀환한 어부들도 군사정권에 의해 고문을 당한 뒤 북에 군부대 위치를 알려줬다는 등의 허위자백을 강요받아 간첩으로 옥살이를 한 경우도 적지 않다. 이른바 ‘납북어부 간첩조작 사건’이다.

최근 북한에서 어부들의 인기가 하늘을 찔러 ‘뱃님’으로 불린다고 북한전문 매체 데일리NK가 보도했다. 어부의 돈벌이가 좋아서란다. 당국에 할당량만 채우면 남는 수산물은 자신 소유가 되기에 이를 팔아 상당한 부를 축적할 수 있어서다. 수척의 배를 소유하는 사람들도 있으니 최고 신랑감으로 등극할 만하다.

북한의 새로운 신흥부자 대열에, 뇌물을 받는 간부들과 그런 간부들과 사귀는 과부들과 함께 어부가 소위 잘나가는 ‘3부’에 합류했다는 것은 그만큼 북한 경제난이 심각하다는 얘기일 것이다. 북한의 어부 소식을 들으니 40여년이 넘도록 가족의 품에 돌아오지 못하는 납북된 어부들이 더욱 생각난다.

최광숙 논설위원 bori@seoul.co.kr

2012-01-30 31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