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객 1000만 달성-릴레이 제언(12)] 한국에 가면 꼭 보아야 할 것/김주현 현대경제연구원장

[관광객 1000만 달성-릴레이 제언(12)] 한국에 가면 꼭 보아야 할 것/김주현 현대경제연구원장

입력 2011-07-11 00:00
업데이트 2011-07-11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SM타운을 앞세워 파리 정복에 나선 사이 서울의 명동은 중국인과 일본인에게 내준 듯하다. 덕분에 우리의 관광수지 적자가 줄어든다는 것을 생각하니 불편함보다는 감사한 마음이 앞선다.

이미지 확대
김주현 현대경제연구원장
김주현 현대경제연구원장
중화학공업 위주의 산업구조를 보완하고, 갈수록 낮아지는 제조업의 고용 수요를 대체하기 위해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의 육성이 시급한 과제가 된 지 오래다. 올해 외래관광객 1000만명 시대를 앞두고 있지만 관광산업이 우리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에 불과하다. 관광산업의 GDP 비중이 9%에 육박하는 이집트는 물론, 프랑스(4.0%)나 이탈리아(3.2%), 스페인(5.3%) 등에 비해 낮은 수치다.

관광자원으로 보면 매우 열악하다. 그랜드캐니언도, 빅토리아 폭포도, 만리장성이나 타지마할 같은 유물도 없다. 그러나 여행자가 자연경관이나 문화적 걸작품만 보러 가는 건 아니다.

우리나라의 외래관광객은 지난 10년 사이에 2배로 늘어났다. 우리의 자연이나 문화 자원에 비하면 비약적인 발전이다. 이는 높아진 국가 및 기업의 위상과 경제성장으로 인한 해외여행 급증이 가져온 결과다.

앞으로도 이웃한 13억명의 중국과 1억 3000만명의 일본은 우리의 마르지 않는 관광 수요처가 될 터다. 그렇다고 지금의 천수답형 관광형태로는 관광객 1000만명을 넘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키울 수 없다.

관광산업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키우고 안정적인 고용을 창출하려면, 우선 우리만의 관광자원을 발굴하고 개발해야 한다. 중국과 일본 등 강대국 사이에서 지켜낸 한민족 문화라는 귀중한 관광자원이 있다. 우리만의 음식, 복식, 가옥, 음악과 미술, 의술과 첨단 전자제품 등은 아시아뿐 아니라 세계의 관광객을 불러오기에 충분한 자원이다.

둘째는 찾아낸 문화 자원에 스토리를 입히는 일이다. 파리의 몽마르트르, 라인강의 로렐라이 언덕이 얼마나 평범하며, 브뤼셀의 오줌 누는 아이 동상이 얼마나 작은 것인지를 잘 안다. 스토리는 황금알을 낳는 관광자원을 만드는 마법이다. 1913년에 만들어진 덴마크 코펜하겐의 인어상은 유명세로 그동안 목이 잘리는 등 수난도 많았으나, 지난해 상하이엑스포에 초청을 받아 97세의 나이에 중국 나들이까지 했다.

셋째로 관광의 인프라를 확장하는 일이다. 2000년 이후 관광객은 급증했으나 숙소, 음식점, 관광지 접근성, 안내 정보 등은 별반 나아진 게 없다. 외국인들이 편안하게 한국 문화를 즐길 수 있는 숙박시설, 혼자서도 지도를 들고 찾아다닐 수 있는 환경 구축이 절실하다.

마지막으로 세계에 자랑할 만한 새로운 관광자원을 만드는 일이다. 미국의 유니버설 스튜디오나 핀란드의 시벨리우스공원, 노르웨이의 프롱네르공원 등은 새롭게 만들어진 관광자원이다. 이제는 한국에 오면 꼭 거쳐 가야 할 볼거리가 있어야 한다. 100년 후쯤 세계로 나들이를 갈 인어상 같은 작품을 지금 만들어야 한다.
2011-07-11 30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