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생명의 窓] 뇌사와 장기이식/이광수 가톨릭의대 신경과 교수

[생명의 窓] 뇌사와 장기이식/이광수 가톨릭의대 신경과 교수

입력 2011-01-29 00:00
업데이트 2011-01-29 02: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광수 가톨릭의대 신경과 교수
이광수 가톨릭의대 신경과 교수
며칠 전 일이다. 필자 병원에서 0시 30분에 긴급하게 ‘뇌사 판정 윤리위원회’가 소집되었다. 내용을 들어보니, 52세 미국인 여자분이 지방 모 병원에서 뇌출혈로 수술을 받았다. 그러나 끝내 회복하지 못하고 뇌사 상태에 빠졌다. 주치의가 뇌사 상태를 설명하니 남편은 아내가 미국에서 평소 장기 기증을 강력히 희망했던 사람이라며 한국에서 선뜻 장기 이식을 희망하여 필자 병원으로 이송되었다.

약 7시간에 걸친 뇌사 판정 후, 오랜 세월 이식만을 기다려왔던 분들에게 간장·신장 그리고 각막 등이 이식되어 많은 분들이 새 삶을 찾게 되었다. 외국인이 이국 땅에서 뇌출혈로 뇌사 상태에 빠지고, 뇌사자의 상태가 좋지 않아 가족들이 미국에서 한국에 도착하기도 전에 부득이하게 장기 적출 수술을 하게 된 경우다. 한편으로는 문화의 차이로 이해할 수도 있으나 미국인 남편은 뇌사 상태에 빠진 아내의 평소 생각을 가장 우선시하여 이런 결정을 내린 것이다. 독자 여러분은 자신이나 가족에게 이런 경우가 발생하였다면 어떤 결정을 내렸을까?

1968년 8월 호주 시드니에 모인 세계 각국 의사들이 “뇌사는 죽음이다.”라는 공식 선언과 함께 같은 해 미국 하버드 의대에서는 뇌사 판정 기준을 발표하였다. 1989년 세계보건기구에서는 인간 장기 이식에 관한 지침을 제정하여 지금껏 구미 선진국에서는 뇌사자의 장기 이식을 합법적으로 시행해 오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쯤부터 뇌사자로부터 장기 이식을 시행하여 왔다. 그때 의사들은 의학적인 근거로 타당성을 주장한 반면 법적인 뒷받침은 없었다. 필자는 검찰청에 불려가 “대학병원 의사들이 왜 불법을 자행하고 있느냐.”며 검사로부터 핀잔을 듣고 “뇌사는 죽음과 마찬가지이니 장기 이식을 반드시 시행하여 새로운 삶을 찾아 주어야 한다.”는 교육 아닌 교육까지 한 기억이 난다.

국내에서는 약간 늦은 감은 있으나 다행스럽게 2000년에 뇌사자의 장기 이식에 관한 법률이 국회를 통과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당시 일부 시민단체와 종교계에서는 뇌사자와 식물인간 상태를 혼동하여 마치 뇌사자를 잘 관리하면 일부는 소생할 수 있다고 믿었고 또 한편으로는 죽음도 인간의 권리라는 주장으로 입법과정이 순탄치 않았다.

뇌사 상태는 뇌 전체(대뇌와 뇌줄기)가 비가역적인 손상을 받아 자극에 반응이 없는 깊은 혼수상태와 자발적 호흡이 없어진 상태로, 인공호흡기를 이용하여 호흡이 유지되는 상태를 말한다. 모든 의학적 수단을 동원하여 적극적인 치료를 하더라도 2주 이내에 심장 정지에 이르는 경우다. 식물인간 상태는 대뇌만 손상을 받고 뇌줄기는 정상으로 유지되어 자발적인 호흡을 하고 있고 일부 침 삼키기, 하품하기, 눈 굴리기 등 반사적인 행동이 유지되는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뇌사 상태는 심장사와 같은 수준으로 인정하는 반면, 식물인간은 절대 생명을 포기해서는 안되는 상태를 말한다.

국내에서 장기 이식을 기다리는 이들은 얼마나 될까? 2007년 기준으로 신장은 7845명, 간장은 3143명, 심장은 192명이 장기 이식을 기다리고 있다. 반면 뇌사자의 장기 기증 건수는 2000년 64명, 2002년 36명, 2006년 141명, 2007년 148명이다. 뇌사자 장기이식 비율은 스페인 84.3%, 미국 71.2%, 프랑스 67.1%, 독일 47.4%, 영국 39.5%, 한국 8.2%이다. 국내 장기제공 희망자는 2000년에는 1000여명에 불과하였으나 2006년 이후 6000~1만 3000명으로 증가한 것은 우리사회의 놀라운 변화로 매우 희망적이다.

우리 한국인은 매우 저력 있는 민족이다. 지난해 수출은 세계 7위, 국내총생산(GDP)은 15위다. 2002년에는 월드컵 4강이란 꿈 같은 이상을 현실로 이뤄낸 민족이다. 이제부터라도 우리 국민은 기부문화와 더불어 뇌사자의 장기 기증 같은, 우리 사회의 차원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데에도 관심을 적극적으로 가져야 한다. 뇌사는 곧 죽음을 의미하나 우리 이웃과 다른 가족을 살릴 수 있는 보다 깊은 사랑의 실천이란 점을 다시 한번 되새기자.
2011-01-29 2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