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작심 365일/이춘규 논설위원

[씨줄날줄] 작심 365일/이춘규 논설위원

입력 2011-01-04 00:00
업데이트 2011-01-04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심(作心)이란 ‘맹자’의 호변장에 나오는 말로 마음을 단단히 먹는다는 뜻이다. 그래서 작심삼일(三日)도 원래는 사흘에 걸쳐 생각하고 생각한 끝에 비로소 결정한다는 신중함을 뜻했다. 긍정적이다. 하지만 요즘 작심삼일은 부정적이다. 마음을 단단히 먹기는 했지만 사흘밖에 못 간다는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우리네 보통사람들은 새해나 입학, 전근을 하면서 다짐을 하지만 작심삼일로 끝나 버리는 경우가 허다하다.

중국의 한민족 비하가 심했던 고려·조선 시대에는 우리민족을 비하하는 표현들이 많았다. 끈질기지 못한 민족이라고 했다. 일제시대 때도 유사했다. 고려공사삼일(高麗公事三日)은 “고려의 정령(政令)이 사흘을 못 간다.”고 중국인들이 비꼰 말이다. 원칙 없이 왔다갔다한다는 뜻. 조선공사삼일(朝鮮公事三日)도 고려공사삼일의 영향을 받아 생겼다. 우리나라 사람의 성격이 처음엔 잘하다가도 끝에 가서 흐지부지한다는 뜻이다.

그렇다고 자학하지 말자. 민족이, 국가가, 개인이 힘이 없으면 비하당하게 된다. 작심삼일은 지구촌 보통사람들과 친숙하다. 새해 금연 다짐을 한 보통사람 중 90%는 실패한다는 통계도 있지 않은가. 작심삼일도 좋다. 삼일이나 지키지 않았는가. 새해 금연, 금주, 다이어트 등 목표를 못 이룬다고 낙담할 필요는 없다. 자신만의 일이 아니다. 수십, 수백번 금연 다짐 끝에 성공한 이가 부지기수다.

새해에는 작심삼일에 그쳐도 계속 다짐을 해보자. 작심일년을 위한 도우미 상품을 활용하는 것도 지혜일 터. 금연보조용품, 간편 운동기구·전자사전 등 자기계발 상품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적절히 활용하자. 그러면 작심일년이 어렵지 않을 것이다. 특히 거창한 다짐을 해 스스로를 학대할 필요는 없다. 하지 말자는 다짐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는 지적이 많다. 부정적 다짐은 자체가 스트레스다. ‘담배 피우지 말자.’보다는 ‘금연을 실천하자.’는 긍정적 사고도 추천된다.

수많은 실패보다 훨씬 나쁜 것이 아예 포기하는 것이라고 했다. 작심하는 것 자체는 해보겠다는 의지의 결정체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보다는 훨씬 낫다. 성현들 가운데도 작심삼일로 끝난 사례는 부지기수다. 작심삼일도 매일 바뀌는 조령모개나 조변석개보다는 낫다. 실패는 부끄럽지 않다. 작심삼일이 수치스러운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작심삼일을 122번만 하면 작심 365일, 작심일년이 되지 않겠나. 세상사 마음먹기 나름이다.

이춘규 논설위원 taein@seoul.co.kr
2011-01-04 31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