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합뉴스
2700까지 떨어졌지만…
8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의 딜링룸 시황판에 전날보다 44.51포인트 떨어져 2700.93에 거래를 마친 코스피 종가가 표시돼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이날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부터 지난 7일까지 26거래일 동안 코스피는 478.29포인트(2267.15→2745.44) 올라 21.1%나 상승했다. 지난달 23일 2602.59(종가 기준)를 기록해 2년 10개월 만에 사상 최고치를 넘어선 뒤 파죽지세로 2700선까지 뚫었다.
●한달 새 21%↑… 내년 전망치 2700 훌쩍
연말 코스피 급등세는 불과 2~3개월 전만 해도 예상하기 어려웠다. 증권사들은 2630~3200포인트를 내년 고점으로 봤다. 하지만 DB금융투자(2630)와 하나금융투자(2700), 한화투자증권(2700) 등이 내세운 내년 코스피 목표치 상단은 이미 뛰어넘었고 대부분의 증권사가 상단으로 찍었던 2800선도 사정권 안에 들어섰다.
●“조정될 순 있지만 ‘바이코리아’ 계속”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 너무 급히 올라간 측면이 있어 이달 중 잠시 쉬어 갈 수는 있지만 추세적 상승이 당장 끝나지는 않을 것으로 봤다. 이경수 메리츠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지난 10월 전망 때 내년 코스피 상단으로 2800을 제시했는데, 이는 당시 기준 향후 12개월 상장사 이익전망치를 기준으로 적정가치를 따진 것”이라면서 “내년 이익은 올해 대비 46%가량 증가할 것으로 보이는데 내후년 전망치가 이보다 높아지면 적정 주가 수준은 올라갈 것”이라고 말했다.
또 최근 주가 상승을 이끄는 외국인들의 순매수세도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예측된다. 정명지 삼성증권 투자정보팀장은 “달러가 약할 때 한국처럼 통화가 강한 주식을 사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라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재임 4년 동안 외국인이 우리 주식을 25조원어치 팔았는데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이 미중 관세전쟁을 끝낼 것으로 예상되니 한국이 매력적인 것”이라고 말했다. 11월 외국인 순매수액이 약 5조원인 것을 감안하면 추가로 사들일 여력이 남았다는 얘기다.
●“백신 부작용 등 변수… 과한 빚투 경계”
다만 전염병 확산세가 여전히 거세고, 백신 부작용 같은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은 증시에서도 변수다. 또 상승장에서 소외되지 않으려고 부채를 과도하게 활용해 투자한 이들이 있는 점도 금융 당국이 우려하는 대목이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2020-12-09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