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나도 혼자 산다’ 가장 흔해진 ‘1인 가구’…작년 27.2%

‘나도 혼자 산다’ 가장 흔해진 ‘1인 가구’…작년 27.2%

장형우 기자
장형우 기자
입력 2016-09-07 22:48
업데이트 2016-09-08 01: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구주택총조사 전수 집계

결혼 미루고 평균 수명 늘어
3~4인 가구 중심 정책 바꿔야
국내 외국인 처음 100만명 넘어




1인 가구가 한국 사회의 가장 흔한 가구 형태가 됐다. 부모로부터 독립해 살면서 결혼을 미루는 청년, 평균 수명이 상대적으로 긴 여성이 남편과 사별하고 혼자 사는 경우 등이 늘었기 때문이다. 주로 3~4인 가구를 타깃으로 했던 정부의 경제·사회·복지 정책의 일대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정부는 매년 말 발표하는 ‘대한민국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에서 인구 문제를 주요 테마로 검토하고 있다.

통계청이 7일 발표한 ‘2015 인구주택총조사 전수 집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인 가구는 520만 3000가구로 전체의 27.2%를 차지했다. 2010년 23.9%보다 3.3% 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이로써 1인 가구는 2인 가구(499만 4000가구·26.1%), 3인 가구(410만 1000가구·21.5%)를 제치고 가장 흔한 가구가 됐다. 미국(28.0%), 영국(28.5%) 등과 비슷한 수준에 이르렀다.

1990년 9.0%에 불과했던 1인 가구 비중이 급증하는 동안 각각 29.5%와 28.7%를 차지했던 4인, 5인 가구는 1·2·3인 가구에 밀려 각각 18.8%와 6.4%를 기록했다. 1990년부터 2005년까지 조사에서 가장 주된 가구 유형은 4인 가구였고 2010년 조사에서는 2인 가구(24.6%) 비중이 가장 높았다.

전체 인구는 5년 전보다 2.7% 증가한 5107만명으로 집계됐다. 연평균 증가율은 0.5%였다.

우리나라 인구는 1985년 4045만명으로 ‘4000만명 시대’를 연 뒤 1990년 4341만명, 1995년 4461만명, 2000년 4614만명, 2005년 4728만명, 2010년 4971만명에 이어 30년 만에 5000만명 시대에 진입했다.

전체 인구 수는 증가했지만 연령대별로 보면 저출산·고령화의 지속으로 14세 이하 유소년 인구가 줄고 중년 이상, 특히 65세 이상 고령 인구만 급격히 늘어났다. 국내 거주 외국인은 2010년 96만명에서 2015년 136만명으로 41.6% 증가해 처음 100만명을 넘었다.

인구밀도는 ㎢당 509명으로 2010년(497명)보다 12명 많아졌다. 방글라데시(1237명), 대만(649명)에 이어 인구 1000만명 이상 국가 중 세 번째 인구 조밀국가로 분석됐다.

정부는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는 중장기 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다. 백용천 기획재정부 미래경제전략국장은 “8월부터 시작한 국가중장기전략 연구작업반에서 인구 문제를 주요 의제로 다룰 것인지 논의하고 있다”면서 “1인 가구가 늘어남에 따라 인구 이동성이 바뀌고 복지와 주택 등 여러 정책의 전환이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세종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서울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

2016-09-08 1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