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MZ 놀이터, 이슈 전쟁터…코로나 1년, 편의점은 어떻게 대세가 됐나

MZ 놀이터, 이슈 전쟁터…코로나 1년, 편의점은 어떻게 대세가 됐나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1-06-03 16:12
업데이트 2021-06-03 17: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모델들이 CU의 배달서비스를 홍보하고 있다. BGF리테일 제공
모델들이 CU의 배달서비스를 홍보하고 있다.
BGF리테일 제공
직장인 이장훈(31·가명)씨는 얼마 전 장보기를 집 근처 편의점에서 했다. 즉석밥, 가정간편식(HMR) 등 일주일치 먹거리를 마트가 아닌 편의점에서 마련한 것이다. 이씨는 “예전에는 대형마트에서 할인행사를 많이 해 자주 갔었지만, 멀리 장보러 가는 시간까지 감안하면 편의점이 낫다고 생각한다”면서 “요즘엔 편의점도 ‘2+1’ 행사가 많아 차이도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편의점이 지난해 코로나 사태를 지나면서 오프라인 ‘대세’ 채널로 떠올랐다. 3일 산업통상자원부의 ‘주요 유통업체 매출동향’을 살펴보면 국내 편의점 3사(CU·GS25·세븐일레븐)의 매출 비중은 지난해 31.0%(온라인 제외)에서 지난 4월 31.4%로 올라서며 같은 기간 33.5%에서 29.5%로 떨어진 대형마트(이마트·롯데마트·홈플러스)를 처음으로 제쳤다.

명품과 패션의 호조로 백화점(롯데·신세계·현대백화점)이 28.4%에서 32.9%로 올라서며 1위를 차지하긴 했지만, 일상품이 아니라는 점을 감안하면 편의점이 ‘생활 플랫폼’으로서 입지를 공고히 한 것으로 분석된다. 상품별 매출 신장률을 봐도 가공식품(17.7%), 생활용품(11.9%), 잡화(10.2%), 신선식품(7.7%) 등 전 상품군에서 매출이 1년 전보다 고르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 확대
모델이 CU의 곰표맥주를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CU 제공
모델이 CU의 곰표맥주를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CU 제공
MZ세대 놀이터 된 편의점…“2030 매출 비중 절반”

편의점은 트렌드에 가장 민감한 유통채널로 꼽힌다. MZ세대로 불리는 젊은 세대가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을 넘겨서다. 이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CU가 지난해 출시한 ‘곰표맥주’다. 수제맥주에 대한 관심과 ‘레트로’(복고) 열풍이 어우러지며 지난 4월 생산량을 늘린 뒤 2주 만에 300만개가 팔렸다. 상품 외에도 복사, 스캔 등 문구점에서나 제공하던 무인복합기 서비스를 비롯해 개인 택배, 배달 등 대형마트나 백화점에서 제공하기 어려운 생활 밀착형 서비스도 각광을 받는다. GS25가 얼마 전 신한은행과 손잡고 편의점에서 은행 업무를 보도록 한 것도 서비스 확대의 한 예다.

전국에 걸친 유통망을 활용해 공공성을 띤 거점이 되기도 한다. 한국편의점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편의점 점포 수는 4만 8094개다. 전국 어딜 가도 편의점을 쉽게 찾을 수 있다는 의미다. 2017년 CU가 시작한 뒤 현재 편의점 3사가 모두 하고 있는 실종아동 찾아주기 캠페인이 대표적이다. 지난해 기록적인 장마기간 편의점 3사는 행정안전부나 전국재해구호협회 등과 함께 이재민 구호를 위한 베이스캠프가 됐었다. 최근에는 서울시교육청과 함께 결식 우려 학생을 위한 희망급식바우처의 사용처로 지정됐다.

각종 논란 표적되기도…“사회적 이슈 민감하게 대응해야”

소비자와 가까운 만큼 논란의 표적이 되기도 한다. GS25는 최근 홍보 포스터에 집게손가락 모양이 ‘남성혐오’ 표현이라는 논란에 직면에 불매운동에 휩싸였다. 이를 통해 조윤성 사장이 편의점 사업부장에서 물러나고 관련자가 징계를 받는 등 내부 인사 조치까지 단행됐지만, 쉽게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이후 GS25와 세븐일레븐 일부 제품에 들어간 김치의 성분명을 중국어 ‘파오차이’로 표시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소비자들의 강한 원성에 부딪치기도 했다. 현재 두 회사는 관련 상품의 판매와 생산을 중단한 상태다. 업계 관계자는 “대세 플랫폼으로서 앞으로는 상품뿐 아니라 사회적 이슈에도 민감하게 반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과 교수는 “편의점은 오프라인 소매산업이 쇠퇴하는 가운데서도 고성장하는 업종으로 포화 상태 속에서도 방문객 편의 극대화로 진화하고 있다”면서 “앞으로 출점 경쟁보다는 PB상품(자체 브랜드) 차별화와 온라인 제휴를 통해 동네의 모든 수요를 해결하는 종합 점포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오경진 기자 oh3@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