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안여객선의 평균 선령을 10년 미만으로 낮추고 현대화도 추진한다. 해양수산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제2차 연안여객선 현대화계획(21~25년)을 세웠다고 16일 밝혔다.
노후화된 여객선을 교체하거나 새로 건조해 여객선 평균 선령을 10년 이내로 단축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선박 현대화펀드에 산업은행이 참여(선박 가격의 40%)하고, 친환경 연료 추진선박을 지원하기로 했다. 노후화된 연안여객선 35척을 현대화하고 친환경 연안선박 10척도 건조한다.
카페리·초 쾌속선에는 다양한 표준선형을 개발한다. 화물(차량)과 여객의 승하선이 명확히 분리되지 않아 사고가 일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여객선에 무선인터넷 설치, QR 코드를 통한 안전장비 위치확인 서비스도 제공하고 매표소 창구마다 키패드를 설치해 승선권 현장 발매 때 전화번호 등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이용객들의 불편도 해결할 예정이다.
한편, 해수부는 육상에서 100㎞ 이상 떨어진 해역에서도 선박의 위치와 기상정보 등을 주고받을 수 있는 원거리 해상디지털 통신망을 세계 최초로 구축하고 내년 4월부터 모든 해역에서 본격 운영한다고 밝혔다. 그동안 육상에서 100㎞ 이상 먼바다에서는 음성통신만 가능했다. 원거리 해상디지털 통신망을 활용하면 어선의 실시간 위치 확인, 긴급조난 통신, 기상정보 제공 등이 가능해진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노후화된 여객선을 교체하거나 새로 건조해 여객선 평균 선령을 10년 이내로 단축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선박 현대화펀드에 산업은행이 참여(선박 가격의 40%)하고, 친환경 연료 추진선박을 지원하기로 했다. 노후화된 연안여객선 35척을 현대화하고 친환경 연안선박 10척도 건조한다.
카페리·초 쾌속선에는 다양한 표준선형을 개발한다. 화물(차량)과 여객의 승하선이 명확히 분리되지 않아 사고가 일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여객선에 무선인터넷 설치, QR 코드를 통한 안전장비 위치확인 서비스도 제공하고 매표소 창구마다 키패드를 설치해 승선권 현장 발매 때 전화번호 등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이용객들의 불편도 해결할 예정이다.
한편, 해수부는 육상에서 100㎞ 이상 떨어진 해역에서도 선박의 위치와 기상정보 등을 주고받을 수 있는 원거리 해상디지털 통신망을 세계 최초로 구축하고 내년 4월부터 모든 해역에서 본격 운영한다고 밝혔다. 그동안 육상에서 100㎞ 이상 먼바다에서는 음성통신만 가능했다. 원거리 해상디지털 통신망을 활용하면 어선의 실시간 위치 확인, 긴급조난 통신, 기상정보 제공 등이 가능해진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