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사 이사회서 ‘전략적 사업 제휴’ 의결
네이버쇼핑, 빠르고 안정적 배송 가능
CJ는 콘텐츠 확산·OTT 역량강화 기대

CJ그룹 제공
26일 한성숙(왼쪽) 네이버 대표와 최은석 CJ주식회사 경영전략 총괄이 서울 강남구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 호텔에서 CJ-NAVER 사업제휴 합의서를 체결한 뒤 포즈를 취하고 있다.
CJ그룹 제공
CJ그룹 제공
네이버와 CJ그룹은 각각 이사회를 열고 CJ대한통운, CJ ENM, 스튜디오드래곤, 네이버의 지분 교환 및 포괄적 협력에 관한 안건을 의결했다고 26일 밝혔다. CJ ENM과 스튜디오드래곤은 각 1500억원, CJ대한통운은 3000억원 규모의 주식을 네이버와 교환한다. CJ ENM과 CJ대한통운은 자사주 매각, 스튜디오드래곤은 3자배정 유상증자(신주발행) 방식을 취하고, 네이버는 각 상대방에 같은 금액의 자사주를 매각한다. 자사주 교환일은 27일이며 스튜디오드래곤의 유상증자에는 약 2주가 소요될 전망이다. CJ대한통운은 이번 주식 취득의 목적을 “자사주 교환을 통한 전략적 사업제휴 관계 강화 및 유지”라고 밝혔다.
이번 사업 제휴를 통해 양측은 콘텐츠와 커머스 경쟁력을 크게 강화한다. 먼저 네이버쇼핑은 자체적인 물류센터와 배송네트워크를 보유한 쿠팡 등 이커머스 업체들과 본격적인 경쟁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현재 CJ대한통운과 풀필먼트(물류 일괄대행) 서비스를 일부 진행하고 있는데 이를 확대하게 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네이버-CJ 동맹 예상 시너지 효과
디지털 콘텐츠 부문에서도 다양한 협력이 가능할 전망이다. CJ ENM과 스튜디오드래곤이 보유한 한류 콘텐츠를 네이버TV 등 네이버가 보유한 플랫폼을 통해 한국과 일본, 동남아 등 주요 거점 시장에 보급하는 등 글로벌 콘텐츠 시장 공략에 집중할 수 있게 됐다. 네이버의 웹툰과 웹소설 등의 지식재산권(IP)을 활용해 CJ ENM에서 드라마를 제작해 방영하거나, 반대로 CJ ENM의 한류 콘텐츠 역량을 네이버 플랫폼으로 옮겨와 온라인화 할 수도 있다. 방송 채널을 가진 CJ ENM과 드라마 제작사인 스튜디오드래곤이 오리지널 콘텐츠를 제작해 네이버를 통해 송출한다면 CJ ENM이 가진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역량을 높이는 기회가 될 거란 전망도 나온다.
심현희 기자 macduck@seoul.co.kr
2020-10-27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