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축은행중앙회 제공
저축은행이 올해 2분기 2413억원의 순이익을 거두며 2개 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상반기 순이익은 2927억원으로 집계됐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을 정리한 영향으로 연체율은 7.53%까지 낮아졌다.
저축은행중앙회가 29일 발표한 ‘2025년 2분기 저축은행 결산 결과’에 따르면, 부실채권을 털어내고 대손충당금 적립 규모도 줄면서 순이익이 늘었다. 다만 여신 규모가 줄고 신규 대출 금리가 낮아지면서 이자이익 개선 효과는 크지 않았다.
총자산은 전 분기보다 2000억원 증가한 118조 8000억원을 기록했다. 여·수신은 모두 감소했는데, 부실채권 매각과 기업대출 축소로 여신이 1조 6000억원 줄었고, 수신도 예금자보호 한도 상향 기대감에도 불구하고 전 분기보다 1000억원 감소했다.
재무 지표는 전반적으로 개선됐다. 자기자본(BIS)비율은 15.60%로 전 분기보다 0.32% 포인트 올랐다. 법정 기준의 2배 수준으로, 자기자본 확충 효과가 반영된 결과다. 적극적인 매·상각으로 연체율은 1.47%포인트 떨어진 7.53%를 기록했고, 고정이하여신비율도 9.49%로 1.10% 포인트 내려갔다.
저축은행중앙회는 “2분기에는 수익성이 점차 개선되는 가운데 자본적정성과 자산건전성, 유동성 모두 안정적으로 관리됐다”며 “앞으로도 수익성과 건전성이 조금씩 나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부동산 경기 회복 지연과 가계부채 관리 강화 등 불리한 영업환경이 이어지고 있다”며 “아직 영업 정상화를 통한 본격적인 수익성 회복 국면에 들어섰다고 보기는 어렵고, 턴어라운드 시점은 다소 늦춰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