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리스크 줄어들자 암호화폐에 몰린 돈… 비트코인 6600만원 돌파

리스크 줄어들자 암호화폐에 몰린 돈… 비트코인 6600만원 돌파

김희리 기자
김희리, 황인주 기자
입력 2021-10-07 21:00
업데이트 2021-10-08 03: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4시간 만에 6.6% 오른 비트코인

인플레·미중發 악재에 투자대응 수단 인식
SEC “암호화폐 금지 없다” 호재로 작용
신고 거래소 등장에 투자심리 회복 영향
큰손 투자자 따라 움직여 가격 변동성 커
비트코인 5개월 만에 6600만원대
비트코인 5개월 만에 6600만원대 7일 서울 용산구 코인원 고객센터 전광판에 비트코인 가격이 표시돼 있다. 이날 비트코인 개당 가격은 약 5개월 만에 6600만원을 돌파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비트코인 가격이 5개월 만에 6600만원대를 돌파했다. 인플레이션 공포와 미중발(發) 악재로 글로벌 금융시장이 출렁이는 것과 달리 가상자산(암호화폐) 시장은 모처럼 호황을 맞고 있다. 암호화폐 관련 리스크가 해소되면서 ‘투자 대응수단’으로 기능하기 시작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국내 4대 암호화폐 거래소 중 하나인 빗썸에 따르면 7일 오후 3시 30분 기준 비트코인은 24시간 전보다 6.39% 오른 6640만 1000원에 거래됐다. 빗썸에서 비트코인 가격이 6600만원을 넘어선 건 지난 5월 13일 이후 처음이다. 업비트에서도 같은 시간 24시간 전보다 6.6% 오른 6646만 6000원에 거래됐다. 이날 미국의 조기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 가능성과 중국의 전력난, 금융 당국의 대출 규제 같은 대내외 악재가 겹치면서 증시가 휘청하고 있는 것과 정반대의 행보를 보이고 있는 셈이다.
이미지 확대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 의장이 지난주 암호화폐를 금지할 계획이 없다고 밝힌 데 이어 개리 겐슬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도 중국과 달리 암호화폐 거래를 금지하지 않겠다고 발언한 게 호재로 작용했다. 여기에 국내 암호화폐 시장을 둘러싼 리스크가 해소되면서 투자 심리가 되살아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김형중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 “특금법(특정 금융거래 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시행으로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들이 금융 당국에 신고를 마친 데다 신고 수리가 이뤄진 거래소들이 등장하면서 이젠 암호화폐가 제도권으로 편입됐다고 보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같은 맥락에서 최근 거래소 영업 중단 사태를 목격한 각종 ‘잡코인’ 투자자들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비트코인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벌어지는 것도 호재로 작용했다는 설명이다.

홍기훈 홍익대 경영학과 교수는 “과거엔 암호화폐 시장이 금융 환경과 별개로 움직였다면 최근엔 유동성 수급이나 금리, 인플레이션 등에 따라 투자자들이 증시처럼 다른 시장의 여건이 좋지 않을 때 대체할 수 있는 자본시장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말했다.

비트코인이 인플레이션 헤지(회피)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박수용(서강대 컴퓨터공학과 교수) 한국블록체인학회장은 “비트코인은 기존 화폐와 달리 한정된 수량만 거래된다는 점에서 금과 같은 자산 방어 수단의 성격이 있다”고 밝혔다.

다만 전문가들은 변동성이 큰 시장인 만큼 상승 지속 여부는 장담할 수 없다고 조언했다. 김 교수는 “전체 시장의 거래 자산 규모가 작다 보니 소수의 ‘고래’(큰손 투자자)가 어떻게 움직이느냐에 따라 가격이 크게 요동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홍 교수도 “아직까지 합리적인 수치에 근거하기보다 ‘기대 심리’로 움직이는 경향이 강한 시장인 만큼 향후 전망을 하기가 어렵다”고 했다.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황인주 기자 inkpad@seoul.co.kr
2021-10-08 18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