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예적금 금리 오르는데… 내 여윳돈 어디 묻어둘까

예적금 금리 오르는데… 내 여윳돈 어디 묻어둘까

홍인기 기자
홍인기 기자
입력 2021-10-06 17:24
업데이트 2021-10-07 03: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금융권 고금리 예적금 알아보기

‘유턴’ 투자자들 잡기 고금리 상품 다양
시중은행 대부분 우대금리 요건 갖춰야
카드 사용·월급 이체 등 체크 후 가입을

기본금리 높은 2금융권 예적금도 대안
1년 예적금 2.26~2.43%… 시중銀의 두 배
일부 저축은행 우대 조건 없이 연 3.32%

이미지 확대
코로나19 확산 이후 경기침체 방어 차원에서 유지돼 온 초저금리 시대가 막을 내리면서 은행의 예적금 금리와 대출 금리가 오르고 있다. 지난 8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인상 결정 이후 두 달이 지나면서 시중은행의 금리 인상도 본격화되고 있다.

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8월 기준 예금은행의 정기예금 금리(1년 만기 신규취급액 기준)는 평균 연 1.16%로, 7월보다 0.06% 포인트 상승했다. 시중은행들은 9월 예적금 금리를 연 0.05~0.40% 포인트 올렸다.

추가 금리 인상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주식 등 투자상품 위주의 자산 포트폴리오도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지난 5일 코스피는 6개월 만에 3000선 밑으로 떨어지면서 올 초부터 이어 오던 상승장이 사실상 끝났다는 평가도 나온다. 하지만 여전히 정기예금이나 적금 금리가 연 1% 수준이라 투자 매력도는 높지 않다.

다만 최근 금융회사들이 주식시장으로 떠났다가 다시 돌아오는 투자자를 잡고자 잇따라 내놓는 고금리 상품은 눈여겨볼 만하다. 물론 일부 상품은 특정 카드에 대한 일정액 사용, 기타 상품 가입 등 우대금리 요건을 충족해야만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카드 사용이나 월급 이체 같은 우대금리 요건을 충족할 수 있다면,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주는 상품에 가입해 볼 만하다”며 “가입액이나 기간도 제한돼 있기 때문에 이런 부분까지 잘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중은행이 내놓은 고금리 상품 대부분은 우대금리 요건을 갖춰야 한다. 예컨대 최고 연 10.0% 금리를 받을 수 있는 케이뱅크의 ‘핫딜적금×우리카드’ 상품의 기본금리는 연 1.8%다. 여기에 케이뱅크 신규회원 가입 또는 개인정보 마케팅 활용에 동의하면 연 0.5% 우대금리를 받는다. 적금 가입일에서 2개월 동안 우리카드를 20만원 이상 이용(연 4.2%)하거나 만기 2개월 전까지 240만원 이상 이용(연 5.7%)하면 우대금리 중 하나가 적용된다. 또 이 카드로 자동 이체를 등록하거나 6개월 이상 교통카드로 사용(연 2.0%)해야 한다. 가입 기간은 1년, 가입액은 월 최대 20만원이다. 이 밖에 ‘우리매직 적금 바이 롯데카드’(최고 연 7.0%), ‘우리페이 적금’(최고 연 6.0%) 등은 카드 사용 조건 등을 충족하면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는 상품이다.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는 요건이 복잡하다면 상대적으로 기본금리가 높은 2금융권 예적금도 대안이 될 수 있다. 저축은행이나 신협·농협 등의 예적금 상품도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5000만원까지 보호된다. 원금과 이자를 합쳐 5000만원까지는 돌려받지 못할 위험이 없는 것이다. 한은에 따르면 8월 기준 상호저축은행의 예금금리(1년 만기 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2.25%로 7월보다 0.18% 포인트 올랐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이날 기준 저축은행의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는 연 2.26%, 정기적금은 연 2.43%다. 시중은행보다 두 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예컨대 상상인저축은행과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의 정기예금은 연 3.32%의 금리를 받을 수 있다. ‘332 정기예금’은 상상인저축은행 앱인 ‘뱅뱅뱅’과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 앱인 ‘크크크’에서 1계좌씩 모두 2계좌까지 개설할 수 있다. 별도 우대 조건은 없다. 가입 한도는 100만~1000만원이다. 이자는 만기에 일시 지급되며 가입 기간은 6개월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저축은행이나 신협, 새마을금고 등 2금융권에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보호되는 5000만원 이하의 돈을 예치하는 것도 자산 포트폴리오를 다양하게 가져가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21-10-07 22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