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섭 PB의 생활 속 재테크] 금리 인상기 주담대 변동금리 ‘혼합형’ 갈아탈 만

[김현섭 PB의 생활 속 재테크] 금리 인상기 주담대 변동금리 ‘혼합형’ 갈아탈 만

입력 2021-09-22 19:44
수정 2021-09-23 03: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국은행이 지난달 26일 1년 3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인상했다. 금리는 주식이나 환율처럼 수시로 바뀌지 않고 일정 기간 지속하는 경향이 있다. 다만 이 방향과 속도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제로 금리 기조를 유지하던 미국은 이제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으로 초저금리 시대의 마감을 예고했다. 이에 따라 개인 투자자들은 대출과 예금 자산 운용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주택담보대출을 살펴보자. 소비자들은 코픽스를 활용한 변동금리(6개월, 12개월), 고정금리, 혼합형 금리(처음 5년 고정금리 후 변동금리를 적용) 가운데 선택한다. 혼합형 금리와 변동금리 선택 때 금리 차이와 향후 금리 인상 속도를 고려해야 한다.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을 보유 중이라면 혼합형 금리로 중도상환 수수료 없이 상품을 갈아타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대출 상품을 변경할 땐 신규 대출과 같은 기준이 적용된다. 기존 한도만큼 대출이 가능한지 먼저 확인하는 것이 필수다.

신용대출의 기본금리는 6개월 또는 12개월 변동금리다. 금리 인상기에는 1년마다 금리가 변동되는 12개월 주기 변동금리가 더 유리한 경우가 많다. 카드론, 현금서비스 등 단기 리볼빙 성격의 대출을 여러 금융회사에서 다수 이용하고 있다면 ‘다중채무자’로 분류된다. 이 경우 대출 가능금액과 금리에 제한이 있다. 될 수 있으면 대출 갈아타기를 활용해 대출을 하나의 금융회사로 집중하는 것이 좋다.

정기예금과 적금에 가입하려는 경우에는 기간별 금리 차이, 금리 인상 속도를 고려해야 한다. 금리 인상기에는 금리 변동 주기가 짧은 것이 유리해 보이지만, 6개월과 12개월 상품의 금리 차이도 고려해야 한다. 예컨대 6개월과 12개월 상품의 금리가 현재 약 0.2% 포인트 차이가 난다면 6개월 내 6개월 상품의 금리가 0.4% 포인트 이상 올라야 더 유리하다는 얘기다.

금리 인상으로 자산 시장의 성장세는 둔화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경제 회복이라는 관점에서 금리 인상이 주식시장에서는 긍정적인 신호로 받아들여지기도 한다. 단기 조정이 있을 순 있지만, 기업들의 실적 증가세가 꺾인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다만 코로나19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 경기와 기업실적 정점 논란, 미국 테이퍼링, 물가 인상 등의 변수로 변동성이 클 수 있다. 특정 자산, 지역, 업종에 집중투자하는 것보다는 포트폴리오 분산투자로 자산을 관리하는 것이 좋다. 또 여유 자금을 투자하지 못한다고 아쉬워하기보다 미래 투자기회를 위해 일정 부분 아껴 두는 것도 필요하다.

KB국민은행 WM스타자문단 도곡스타PB센터
2021-09-23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