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외국에서 받아야 할 채권에서 갚아야 할 채무를 뺀 순대외채권이 3800억 달러를 넘어서며 사상 최대 행진을 이어갔다.
한국은행이 30일 발표한 ‘2016년 9월 말 국제투자대조표(잠정)’를 보면 9월 말 현재 우리나라의 대외채권은 7839억 달러로 6월 말보다 343억 달러 늘었다.
대외채무는 6월 말보다 86억 달러 증가한 4004억 달러로 4000억 달러 선을 넘었다.
이에 따라 9월 말 순대외채권 규모는 3835억 달러로 6월 말보다 257억 달러 늘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대외채권·채무는 만기와 금리가 정해진 대출금, 차입금, 채권, 무역신용 등으로 구성된다.
만기 1년 이하의 단기외채는 1118억 달러로 전 분기보다 50억 달러 늘었다.
전체 대외채무에서 단기외채가 차지하는 비중은 27.9%로 집계돼 6월 말보다 0.7%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작년 9월 말(29.1%) 이후 1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단기외채 비중과 경상수지, 외환보유액 등은 한 국가의 대외지급능력을 보여주는 지표다.
준비자산(외환보유액) 대비 단기외채 비중도 9월 말 29.6%로 전 분기 말보다 0.7%포인트 올랐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순대외채권이 늘어나는 등 기존의 추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외채의 건전성은 양호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대외금융자산에서 대외금융부채를 뺀 순대외금융자산은 9월 말 2192억 달러로 6월 말보다 149억 달러 줄었다.
이는 3분기 중 원화절상과 주가상승에 따라 외국인 증권투자가 늘어 부채 잔액이 크게 증가한 때문이다.
외국인이 한국에 투자한 대외금융부채는 9월 말 1조 280억 달러로 6월 말보다 682억 달러나 늘면서 1조 달러 선을 돌파했다.
우리나라가 외국에 투자한 대외금융자산은 1조 2472억 달러로 534억 달러 증가했다.
우리나라는 순대외금융자산이 분기 기준으로 2014년 9월 말 처음 플러스를 기록한 이후 대외금융자산이 대외금융부채를 초과하는 순자산국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은행이 30일 발표한 ‘2016년 9월 말 국제투자대조표(잠정)’를 보면 9월 말 현재 우리나라의 대외채권은 7839억 달러로 6월 말보다 343억 달러 늘었다.
대외채무는 6월 말보다 86억 달러 증가한 4004억 달러로 4000억 달러 선을 넘었다.
이에 따라 9월 말 순대외채권 규모는 3835억 달러로 6월 말보다 257억 달러 늘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대외채권·채무는 만기와 금리가 정해진 대출금, 차입금, 채권, 무역신용 등으로 구성된다.
만기 1년 이하의 단기외채는 1118억 달러로 전 분기보다 50억 달러 늘었다.
전체 대외채무에서 단기외채가 차지하는 비중은 27.9%로 집계돼 6월 말보다 0.7%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작년 9월 말(29.1%) 이후 1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단기외채 비중과 경상수지, 외환보유액 등은 한 국가의 대외지급능력을 보여주는 지표다.
준비자산(외환보유액) 대비 단기외채 비중도 9월 말 29.6%로 전 분기 말보다 0.7%포인트 올랐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순대외채권이 늘어나는 등 기존의 추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외채의 건전성은 양호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대외금융자산에서 대외금융부채를 뺀 순대외금융자산은 9월 말 2192억 달러로 6월 말보다 149억 달러 줄었다.
이는 3분기 중 원화절상과 주가상승에 따라 외국인 증권투자가 늘어 부채 잔액이 크게 증가한 때문이다.
외국인이 한국에 투자한 대외금융부채는 9월 말 1조 280억 달러로 6월 말보다 682억 달러나 늘면서 1조 달러 선을 돌파했다.
우리나라가 외국에 투자한 대외금융자산은 1조 2472억 달러로 534억 달러 증가했다.
우리나라는 순대외금융자산이 분기 기준으로 2014년 9월 말 처음 플러스를 기록한 이후 대외금융자산이 대외금융부채를 초과하는 순자산국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