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달러 환율 급등
의외의 미국 대선 개표 결과에 따라 환율과 코스피 지수가 요동친 9일 오후 서울 중구 을지로 KEB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초긴장 속에 업무를 보고 있다. 2016.11.09 강성남 선임기자 snk@seoul.co.kr
9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달러당 1,149.5원으로 마감됐다. 전날 종가보다 14.5원 올랐다.
이날 장웅에는 20원 넘게 급등하기도 했다.
트럼프가 당선될 경우 그 충격으로 당분간 원/달러 환율이 달러당 1,200원까지 오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원/달러 환율이 급등한 이유는 안전자산 선호 현상 때문이다. 금융시장에서 트럼프 당선 가능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않은 상태라서 충격이 더 컸다는 분석이 나온다.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후보의 당선 가능성을 높게 보던 시장은 지난 6월 24일 브렉시트(Brexit·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때와 같은 여파를 맞았다.
환율은 미국 대선 개표 상황이 속속 발표되면서 급격한 상승 곡선을 그렸다.
원/달러 환율은 전날 종가보다 달러당 6.0원 하락한 1,129.0원으로 개장한 뒤 느긋하게 움직였다.
클린턴이 당선되면 미국 대선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줄어들면서 위험자산 선호 분위기가 강해질 것이라는 전망에 따른 움직임이었다.
그러나 트럼프가 플로리다, 오하이오 등 경합 주(州)에서 선전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오전 11시쯤 상황이 급변했다.
오전 11시 달러당 1,135.6원이었던 원/달러 환율은 불과 23분 만에 14원 올라 1,149.5원이 됐다.
오후 1시쯤에는 전날 종가보다 22.25원 오른 1,157.25원까지 상승하기도 했다.
트럼프가 당선될 경우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 정책 불확실성 심화 등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한층 강화될 것이란 점을 반영한 움직임이다.
하루 환율 변동 폭은 28.6원으로 브렉시트 투표가 있었던 지난 6월 24일(33.2원)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