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기업은행 ‘외화방어력 안정권’ 턱걸이

하나·기업은행 ‘외화방어력 안정권’ 턱걸이

입력 2016-11-08 23:12
수정 2016-11-09 01: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외화유동성비율 100%는 넘지만 외국인 5거래일간 6942억 던져

국내외 정세불안에 모니터링 강화

이미지 확대
‘최순실 국정 농단 사건’으로 인한 국내 정세 불안과 미국 대선 결과의 불확실성이 겹치면서 정부가 환율시장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 미국 대선을 앞두고 외국인의 자금이 연일 빠져나가는 모양새다. 실제 외국인 투자자들은 최근 5거래일간(11월 2일~8일) 주식 6942억원어치를 팔아치웠다. 금융 당국은 “금융권 전반의 외화 유동성은 여전히 충분하다”는 입장이다.

8일 국내 5대 시중 은행의 10월 외화유동성비율 평균은 108.93%로 전년 동기(113.38%) 대비 4.45% 포인트 떨어졌다. 은행별로 살펴보면 우리 118.00%, 신한 109.37%, KEB하나 103.70%, KB국민 116.40%(이하 9월 기준), IBK기업 103.64%로 나타났다. KEB하나와 IBK기업은 주요 은행 가운데 수치가 가장 낮다.

외화유동성비율(잔존 3개월 만기 외화자산을 외화부채로 나눈 값)은 은행이 외채 상환에 대처할 수 있는 여력을 나타내는 지표다. 정부는 외화유동성비율 85%를 ‘마지노선’으로 본다. 하지만 금융권에서 원화보다 차입이 힘든 외화는 통상 100%를 넘겨야 ‘안정권’으로 분류한다. 금융권 관계자는 “내년에는 보다 엄격한 기준인 외화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을 도입할 예정이라 LCR 산출 기반이 되는 외화유동성비율을 엄격하게 관리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외화여유자금비율은 다소 안정적이다. 외화여유자금비율은 외화 여유 자금을 3개월 이내 만기가 돌아오는 외화 차입금으로 나눈 값이다. 10월 기준으로 우리 195.28%, KB국민 129.50%(9월 기준), 신한 132.0%, KEB하나 99.31%, IBK기업 287%(9월 기준)로 지도기준 50%를 크게 웃돈다.

금융 당국은 외화 유동성 상황과 차입 여건이 양호하다고 평가하면서도 대외 불확성이 확대될 수 있는 만큼 각 은행이 스트레스 테스트를 하는 등 외환 건전성 관리에 빈틈이 없어야 한다고 당부했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뿐 아니라 대선 결과가 ‘복병’으로 작용할 수 있어서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6-11-09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